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3

왜 한국은 미국 금리를 따라가는 건가요?

미국에서 금리를 0.25, 0.5 포인트 올리면, 한국은행에서도 덩달아 0.25포인트

0.5 포인트 따라가면서 올리는데요 이렇게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전중진 경제전문가23.01.13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같은 경우에는 전세계의 금융시장 중

    가장 큰 금융시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미국 연준의 통화 및 금융정책 등에

    전세계의 자금이 이동되기 떄문에 미국의 금리를

    따라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를 따라가지 않아서, 미국과의 금리격차가 너무 많이 벌어지면, 한국에서 외국인 투자자를 중심으로 자본이 미국으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원화 약세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 입니다.

    실제로 작년 한해 미국이 그 어느 나라보다도 금리인상을 빠른 속도로 진행하면서 금리격차가 벌어지게 되었고, 달러 초강세의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이것은 일본, 유럽과같은 선진국에도 해당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한국이 아무리 경제가 많이 발전하였더라도, 피할수 없는 문제입니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국력을 가지고 있는 국가이기때문에, 미국이 금리가 높다면, 굳이 다른나라에 투자할 것 없이, 미국 금리가 제일 높다면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를 사던지, 은행에 예치하는 것이, 가장 안정성이 높으면서도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면, 대부분의 나라가 같이 금리를 올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가 높아진다는 건 돈을 맡기면 이자를 많이 준다는 얘기랑 같아요. 그럼 사람들이 미국 금융기관에 돈을 더 많이 맡기려 합니다. 그럼 달러가 많이 필요해져요. 달러는 한정되어 있고 찾는 사람은 많으니 달러 가치는 올라갑니다. 그럼 달러를 바꿀 때 더 많은 원화를 내야 하게 되면서 환율이 오르는 거예요. 주식시장도 영향을 받습니다. 외국인들이 금리가 높아진 미국으로 돈을 더 맡기려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투자했던 돈을 빼려 하고 그러다 보면 우리나라 주가가 내려가게 돼요. 이런 식으로 우리나라 안에 있는 달러가 점점 줄어드니 환율은 더 오르는 거죠. 돈은 금리가 높은 데 몰리게 되어 있습니다. 이자를 많이 준다는 나라에 당연히 돈을 더 맡기겠죠. 결국 우리도 미국처럼 금리를 인상해야 이런 자금 이탈을 막을 수 있어요. 그런데 금리가 너무 오르면 기업은 이자 부담 때문에 돈을 안 빌리려 하고 이러면 기업 투자를 위축시켜 경제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다는 게 문제이긴 합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한국이 미국 금리에 영향을 받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글로벌 금융시장은 끊임 없이 이동합니다. 주로 안전하고 높은 수익률을 주는 곳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데 미국의 금융 시장은 가장 안전하며 기축 통화인 미달러 표시 자산이라 환율 측면에서도 매력도가 더 높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미국 이외의 국가들은 미국 기준 금리를 추종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외국인 자본 이탈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의 경우 제로 금리를 유지하고 있는데 작년부터 엄청나게 많은 외국인 투자 자본이 이탈하고 있습니다. 이탈한 미달러를 무역흑자로 유입된 외환으로 막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미국이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두나라간의 기준금리 차이가 심화될 경우 우리나라의 통화의 가치가 떨어져 원달러환율이 크게 상승하고, 이에따라 우리나라 원화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원화의 지속적으 가치하락이 예상될 경우 우리나라의 투자자산을 매각하고 외국으로 자금을 이탈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상황이 심화될 경우 우리나라의 금융시장 불안정성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