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637년 2월 24일(인조 15년 음력 1월 30일) 청나라가 병자호란을 일으키고 한양으로 빠르게 남하하자 조선의 왕 인조는 강화도로 피신하려 하였다. 하지만 청군이 길을 막아 강화도로 갈 수 없게 되었고 이에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들어가 항전한다. 그러나 성내의 물자가 떨어지자 끝내 청나라와 치욕스러운 강화(말이 강화조약이지 항복이나 다름없었다)를 맺으니 이를 삼전도의 굴욕이라 한다. 실록의 기록(효종실록, 현종실록 등)을 보면, 정축년 1월 초에 성에서 내려왔다는 의미로 정축하성(丁丑下城)이라고 했다. 그나마 실록에 기재되긴 했지만 전후를 통틀어도 손에 꼽을 정도로 임진왜란보다 더 비참했던 만큼 병자호란 전후의 사정을 보고 이 부분을 보면 엄청나게 순화했다고 느낄 정도로 비교적 검열삭제해서 쓰인 편이다.
삼전도(三田渡)는 현재의 서울특별시 송파구 삼전동 및 석촌동 부근에 있던 하중도의 나루터였다. 지금 그곳은 개천을 메워 섬이 아니게 되었다. 이 사건을 적어둔 비석인 삼전도비가 원래 세워진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남아있었는데 2007년 페인트 또는 스프레이로 테러가 있은 후 2010년 복원하여 원래 있었던 위치인 롯데월드 석촌호수 근처로 돌아갔다.
1910년 경술국치 이전까지는 조선왕조 최대의 굴욕으로 취급되었다. 한낱 번국 오랑캐라며 무시한 여진족의 나라, 청나라에게 만인지상의 임금이 머리 박고 항복했다고 합니다.
출처: 나무위키 삼전도의 굴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