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3.12.25

조선시대에 왕권에서 밀려난 왕족들도 국가의 돈으로 생활했나요?

조선시대에는 왕족들간에도 왕권 싸움이 엄청 심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왕권 싸움에서 밀려나 왕이 되지 못한 자들은

일반적인 벼슬도 가지지 않았던 것 같은데

그들은 어떤 방식으로 생활을 했나요?

국가에서 의식주를 해결해주는 방식이었는지

아니면 외부에서 다른 일을 하며 생활하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왕족들은 조선 시대의 정승과 같은 수준의 녹봉을 받았습니다. 가장 높은 관직인 제1과 재내대군, 정승 이상은 1년에 쌀 약 100석과 베, 비단 등의 천 32필을 받았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왕실 가문의 자손들은 관직을 갖지 못했습니다. 왕 이외에는 정사에 개입하지 못하도록 함인데 왕의 뜻이 왜곡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고 일찍이 왕위계승투쟁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함이지요. 왕권에서 밀려난 가문도 수조권 등을 제공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생활이 가능했습니다. 대체로 그 살림살이가 넉넉했는데 대를 계속하여 오래되면 조금 팍팍해질 수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세도정치기 왕위에 오르게 된 강화도령 철종이지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족들과 같은 경우에는 당연히 벼슬 등을 할 수 없었기에

    국가로부터 지원 등을 받았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족들은 기본적으로 국가의 재정으로 풍족한 삶을 누리고 호화스러운 생활을 하였습니다. 왕자와 공주는 세자를 제외하고 결혼하면 궁밖에서 살아야 했는데 이때 이들은 많은 경제적 혜택을 누렸습니다. 하지만 왕권을 위협할 수 있는 잠재적 위협세력으로 분류되어 나가서 살더라도 모두 도성안에서만 살아야 했고 행여 도성 밖으로 나가려해도 모두 왕실에 신고를 해야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