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기운찬까치269
기운찬까치269
22.10.28

전문가들이 2023년에 혹독한 경기침체를 예상하는데 핵심 원인은 뭔가요?

투자에 관심이 많습니다

내년엔 혹독한 경기침체가 온다고들하는데

어떻게 대처해야하나 걱정입니다

거시적 시야를 가지신분들의 의견을 듣고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3년도에 혹독한 경기침체를 예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 수가 있습니다. 먼저 이 전제는 금리 상승이 내년 상반기까지 계속해서 이어지게 되는 것을 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대출의 부실화 - 현재 개인들의 경우 대출규모가 1,900조원을 넘기고 있으며 변동금리 비율이 80% 이상

    • 태양광대출의 부실화

    • 부동산시장 냉각과 PF대출의 부실화 가능성이 높은 상황

    • PF대출의 부실화로 2011년도 저축은행 줄도산 사태 재현가능성이 높음

    • 미중 무역전쟁의 지속

    • 미국 IRA법, 반도체법, 바이오법의 적용에 따른 국내 제조업체들의 미국 이전 갈등

      - 제 생각에는 이게 제일 심각한 사안으로 보이는데, 우리나라의 완성품 제조업체 대기업들이 미국으로 가는 경우 협력업체들도 따라 가거나 부실화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 제조업의 30%이상이 국내에서 빠져나가게 되고 이는 대량의 실직사태를 의미합니다. 장기적으로 미국금리 인상이나 다른 국가들의 침체보다 이게 정말 심각합니다. 게다가 이 법들은 자유주의 성격보다 미국 보호주의 무역의 성격이 더 강해서 향후 국제시장에도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가령 유로존도 유로존 내의 기업들에게만 세제혜택을 준다던지 중국도 이런식으로 나오게 되면 내수시장의 규모가 작고 수출에 의존해야하는 우리나라의 경우는 답이 없어집니다.

    • 인플레이션의 심화로 인한 글로벌 경기침체

    • 중국의 부동산버블과 시진핑3연임에 따른 리스크

    위와 같은 악재들이 산재하고 있고 좋은 소식은 정말 단 하나도 없는 상황이라서 내년에는 정말 최근 20년내에 겪어보지 못했던 최악의 경제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상황입니다. IMF가 우리나라 내부의 외환위기고, 2008년도는 미국발 즉 외부의 위기였다면 지금의 위기는 외부와 내부 모두 위기인 상황이라서 어떠한 해결책도 내놓기 힘든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는 여러가지 근거가 있습니다만, 금리인상이 피크를 칠 것이 23년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고금리가 계속 유지된다면 이에 대하여 익숙해지면서 어떻게든 사업이나 가계를 꾸려나가지만, 인상 사이클에서는 모두다 높아지는 이자비용에 고통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에 따라, 금리인상 사이클이 끝나는 23년이 가장 큰 침체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 이후에는 침체기를 유사하게 이어나가거나 경기반등에 성공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금리인상을 계속하여 전세계에서

    하고 있으나 물가가 쉽사리 잡히지 않고 이에 따라

    금리가 높아짐에 따라서 가계 및 기업 등의 투자 및 소비심리가

    위축됨에 따라서 경기침체를 예상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당분간은 보수적으로 투자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0.29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글로벌 성장이 급격히 둔화되고 있으며 더 많은 국가가 경기 침체에 빠지면서 더 둔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면 신흥 시장과 개발도상국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