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활발한재규어158
활발한재규어158
20.11.20

탄력근무제 관련 수당,휴게 시간 문의 드립니다.

외국계 회사에 근무 중이며, 부서이직을 진행하면서 탄력근무제로 진행될 것 같습니다.

아래 사래의 경우, 주휴 수당 및 휴일 근무에 대한 가산 수당의 지불 의무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의무적으로 근무를 5일 연속 근무, 4일 휴무를 Rotation 형식으로 진행 하게 되며, 정해진 시간에 시작 및 정해진 시간에 끝나게 됩니다. 자세하게는 하루 근무 시간은 10시간이며, 시작은 아침 7시 종료는 오후 5시 입니다. 한달에 2주 주말; 토,일요일 근무를 하도록 정해져 있습니다. 휴게 시간은 업무 특성 상 보장 되어 있지 않습니다.

1. 의무적으로 근무하도록 정해진 날에 일요일이 포함 되는 경우 -

1.1) 일요일 - 주휴일인 일요일에 일정 시간의 의무적 근무시간이 정해져 있다면, 실제 일요일에 근무한 시간에 대해서는 연장근로수당 여부와 관계없이 휴일근무에 해당하므로 가산수당의 지급 의무가 있는 건가요? 만약 있다면, 수당 지급 %는 어떻게 되는 건지요?

시나리오 1) 만약 평일 밎 토요일 포함 1주 32시간을 일 하였고, 일요일에 나머지 8시간을 더 일하는 경우(총 40 시간) 을 채운다면 일요일 근무 시간에 대하여 가산수당의 지급 의무가 있는 건지요?

시나리오 2) 평일 및 토요일에 40시간 근무 후, 일요일에 10시간을 일하게 된다면 가산수당의 지급 의무 여부 와 수당 % 을 알고 싶습니다.

2. 회사에서 주휴일을 일요일이 아닌, 다른 날로 옮길 경우 가산 수당 지급 의무는 없는 건지요?

3. 휴게 시간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 보상 제도가 따로 존재 하나요? 아니면 이런 경우 인사팀에 요구를 해서 휴게 시간을 보장 받게끔 진행 해야 하는 건지요?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