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의 가장 큰 차이점이 뭐에요?
요즘 천변에 벚꽃이 피어있어서 가 보았더니 비점오염 측정소? 그런것이 있던데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의 가장 큰 차이점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점오염원은 하수처리장이나 공장처럼 오염물질이 특정 관로나 수로를 통해 '정해진 한 곳'에서 집중적으로 배출되는 오염원입니다. 오염원이 명확하여 관리가 비교적 쉽습니다.
반면 비점오염원은 도로, 농경지, 산지 등 '넓은 지역의 불특정 장소'에서 빗물 등에 섞여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오염원입니다. 어디서 정확히 나왔는지 특정하기 어렵고, 발생 경로가 다양하여 관리가 훨씬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은 수질 오염을 일으키는 오염원의 종류를 구분하고 발생지점, 관리방식, 오염물질의 특성 등의 차이가 있습니다.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점오염원은 특정 지점에서 배출되는 오염원으로써 중금속, 유기용제, 특정 화학물질 등 오염물질의 배출량과 농도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용의합니다.
비점오염원은 넓은 지역에 걸쳐 불특정하게 배출되는 오염원으로써 토사, 영양염류, 농약, 축산분뇨 등 다양한 종류의 오염 물질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점오염원은 오염이 특정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공장 배수구, 하수 처리장, 발전소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비점오염원은 오염이 특정한 지점이 아니라 넓은 지역에서 퍼져서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주로 농업에서의 비료나 농약, 도시 지역에서의 도로에서 발생하는 기름, 쓰레기 등이 비점오염원에 해당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관련 큰 차이점은 오염 발생 지역과 관리 방식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점오염원은 공장폐수, 생활하수, 축산폐수 등 특정 배출구를 통해 정해진 지점에서 배출됩니다.
반면 비점오염원은 농경지 유출, 도로 오염물 등 불특정 다수의 지점에서 비산하여 강우 시 확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