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봉래산제일봉
봉래산제일봉22.07.21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사신도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북한에 있는 강서대묘를 비롯한 여러기의 고구려 고분에 벽화가 그려져 있잖아요. 여기에는 고구려 시대의 기상과 웅장함이 잘 나타난 사신도등 고분벽화가 그려져 있는데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사신도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구려 벽화는 독특한 고구려의 무덤양식 덕분에 가능한 유물입니다. 굴식 돌방무덤이라고 무덤을 터널과 그 안쪽에 돌방을 조성해서 이 벽면들에 벽화를 그릴 수 있었습니다. 사신도는 도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무덤의 주인공이 내세에서도 삶을 지속하고 사신이 이를 지켜준다는 의미를가집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사신도 즉, 주작, 현무, 백호, 청룡은 도교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써, 도교 자체가 '신선'을 이상적인 상으로 여기는 이 신선은 영원히 사는 사람 즉, 영생하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사실상 이 사신도의 의미는 그 묘의 주인이 사망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살아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장의미술의 영향 + 도교사상의 영향을 받아 사신도가 그려진 것이고, 이와 함께 그 의미를 함께 내포하게 되었다 이렇게 보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