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ASDXC
ASDXC

자금력이 풍부한 회사들도 채권을 발행하는지 그이유는 ?

채권중에 회사채 채권도 있는것 같더라구요

그런데 채권중에 회사채는 자금력이 풍부한

회사도 채권을 발행하는지 그이유는 무엇인지

알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자금력이 있더라도 채권을 발행하는 여러 이유가 있는데요. 먼저 기업이 일상적인 운영 활동을 위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재고 구매, 임금 지급, 기타 운영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혹은 신규 투자, 공장 설립, 시장 확장 또는 새로운 제품 개발과 같은 사업 확장을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기업채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합니다.

    그리고 기존에 높은 이자율로 빌린 자금을 더 낮은 이자율의 채권으로 전환하기 위해 회사채를 발행해서 장기적인 비용을 절감하는 데 활용합니다.

    또한, 특정 프로젝트나 연구 및 개발(R&D)에 필요한 자금을 위해 채권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해당 프로젝트에 직접 투자하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끝으로 일부 기업은 자본 구조를 최적화하기 위해 주식 대신 채권을 발행하기를 선택합니다. 이는 주식 발행으로 인한 소유권 희석을 피하면서도 필요 자금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 시스템에서는 현재 법정화폐는 지속적으로 가치가 하락하는게 기정 사실입니다. 저는 99.9%의 확률이라고 주위에 얘기하곤 하는데 사실상 현 체제가 유지되는 한 무조건입니다.

    그러면 회사 입장에서도 특히 말씀하신 자본력이 충분한 회사라면 은행으로부터 돈을 싸게 빌릴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채권도 낮은 이자로 발행하고 많은 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나중에 돈의 가치가 싸지면 오히려 이득 보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면 내가 2%의 금리로 돈을 천만원 빌립니다. 이걸로 티비 100대를 살수 있다 치겠습니다.

    근데, 계속 화폐가 발행되고 가치가 희석되고 하면 돈의 가치가 낮아집니다.

    그리고 물가가 올라서 나중에는 천만원으로 티비 50대를 살수 있게 되었습니다. 돈의 가치가 줄어든 것이죠.

    그럼 나는 돈의 비쌀때 활용하다가 나중에 돈의 가치가 싸졌을때 쉽게 갚는것입니다. 혹은 안갚고 또 채권을 발행하고 그걸로 갚는것이죠. 이렇게 신용만 있으면 거저 돈을 운용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자금력이 풍부한 회사들도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입니다.

    첫째, 채권 발행이 은행 대출보다 자금 조달 비용이 저렴할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둘째, 자금을 다양한 방식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채권 발행을 통해 대출 외에도 다양한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셋째, 주식을 발행하면 지분 희석이 발생하지만 채권 발행은 이를 방지하면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넷째, 채권은 장기 자금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장기적인 투자나 프로젝트에 유리합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자금력이 풍부한 회사들도 회사채를 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회사가 꼭 돈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저렴한 자금 조달을 위해서 채권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은행 대출보다 이자율이 낮은 채권을 발행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회사는 더 많은 자금을 쉽게 조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모은 자금은 새로운 투자나 사업 확장에 사용될 수 있어 자금이 풍부해도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가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채권을 발행하여 흥행시키는 것도 능력이고 채권을 상환하는 이자보다 해당 자금으로 더큰

      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레버리지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 회사가 레버리지를 일으키지 않고 본인의 자금만으로도 굴릴 수는 있지만 경쟁사에 비해

      뒤쳐지는 특징이 있기에 최대한 레버리지를 활용한 기업 성장에 집중하는 모습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에서 발행한 채권 비용보다 평균 수익이 더 높은 회사는 채권발행하여 신규투자를 진행하긴 합니다.

    내부 자금 유동성확보 및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원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전략적인 이유가 있을수 있습니다.자금이 풍부하더라도 유동성확보와 투자의 규모나 기회를 넓히기 위한전략일수 있고 금리가 낮을때 발행하면 추후 금리상승때를 대비한 조달을 할수가 있을것입니다.장기적인 전략의 일환인지 아니면 다른 모르는 내부정보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한경우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 발행을 적극적으로 하기도 합니다.

    이유는 채권 발행하여 투자금을 유지받고 투자대비 수익이 만기 상환 이자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겠죠

    일반적으로 금리가 낮으면서 경기가 회복세에 접어드는 구간에서 기업들이 투자금을 많이 받기 시작합니다.

    다시금 화이팅 하려는 모습이죠. 이럴 때 좋은 방법 중 하나가 회사채이기에 적당한 타이밍에 푸는 경우가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자금력이 풍부한 회사들도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레버리지 효과를 누리기 위함으로 자기 돈으로 하는 것보다

    타인의 돈으로 사업을 하는 것이 더 수익률이 좋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금력이 풍부한 기업들과 같은 경우에도

    회사 내 현금을 쌓아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에 따른 채권을 발행하는 경우도 당연히

    있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