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경제가 디지털 산업에서 미국 아시아보다 뒤쳐지는이유는?
자동차나 기계같은 전통제조업은 여전히 강한데 아이티 에이아이 같은분야에선 유럽기업이 잘안보이잖아 규제 때문일까요? 아니면 생태계구조가 달라서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럽의 경우 디지털 산업이 뒤처진 이유는 과도한 규제와 보수적인 투자 환경 그리고 창업 생태계가 약하기 때문 입니다. 특히 개인 정보 보호 등 강력한 규제가 빅데이터, AI혁신에 제약을 주고 미국, 아시아보다 위험을 감수하는 벤터 투자 문화도 약합니다. 이에 전통 제조업 중심 구조로 인하여 디지털 산업 전환 속도가 느리게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혁신 보다 안정 추구가 우선 시 되는 구조가 디지털 격차를 키운 주요 원인이라고 생각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럽은 GDPR(개인정보보호법) 등 강력한 규제 중심의 정책이 많아 혁신보다는 안정과 통제에 방점을 찍는 분위기가 있습니다. 또한 유럽은 언어, 문화, 법체계가 다양한 27개국 분산시장이기 때문에 디지털 혁신이 빠르게 확산되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럽은 유로존으로 통합되고나서 독일만 흑자를 보는 구조였고 이러면서 다른 국가들은 제조업이 망하게 되고 재정지출이 늘면서 적자가 심화되었습니다 이로인해서 독일은 벌어들인 흑자를 이들에 대한 지원이 컸고 이를 기반으로 빅테크나 미래산업에 대한 투자가 매우 약했습니다
그러다보니 미국처럼 실릭콘밸리와 같은 생태계가 없으며 미국처럼 시장자본주의가 아니며 기업들도 노동계층이 같이 참여하는 구조여서 혁신이 힘든구조입니다 이러다보니 구경제에 진입해있고 중국보다도 미래산업에서 크게 뒤처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유럽 경제가 디지털 산업에서 미국이나 아시아나에 뒤쳐진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유럽은 소위말하는 전통 산업군에서 우위를 보이지만
이는 곧 새로운 산업인 디지털 관련 산업으로의 전환에서
늦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렇기에 결론적으로 미국이나 아시아 국가들에 뒤쳐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규제와 생태계 구조 모두 큰 이유 입니다.
개인정보 보호법 등으로 데이터 활용이 제한되어 AI, 디지털 산업 성장에 불리하며
벤처투자 규모가 작고 리스크를 회피하려는 문화가 강합니다.
또한 보수적인 문화와 혁신 수용도가 낮습니다.
유럽은 제조업 기반으로 탄탄하지만 규제강화, 창업 생태계가 약함, 문화적 보수성 때문에
디지털과 AI 분야에서는 미국과 아시아에 비해서 뒤처진 상황 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럽은 너무 많은 규제가 있기 때문에 디지털이나 플랫폼 산업이 발전하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규제가 적은 곳에서는 꽃을 피우는데 유럽은 꽃을 피기도 전에 시들어 버리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생태계 문제라기 보다는 유럽의 구조적인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오랜 세월 동안 유럽은 기술 발전의 근본이 되는 R&D 투자가 지지부진했는데요. EU는 심지어 일본과 한국 그리고 미국에게도 R&D 지출에서 밀리고 있습니다. 리스크 수용에 대한 문화적인 태도가 바뀔 필요가 있으며,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 체계를 뜯어고쳐야 하지만,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조차도 의미가 없을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R&D를 한번 경시하기 시작하고 뒤떨어지기 시작한다면, 다시 따라잡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