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4

통화는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요?

전화기로 통화하면 멀리 떨어져 있어도 소리가 정확하게 들리는데, 어떻게 멀리 있어도 정확하게 소리가 전달되나요? 통화가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1.24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A와 B가 있다고 칩시다. A가 통화 신호를 통신 기기에 보냅니다. 통신 기기(기지국 등)에서 신호를 다른 통신기기로 보냅니다.(기기 등에서 자동으로 신호가 찾아가게 만듭니다.) 그렇게 B에게 신호가 도착합니다.

    B가 통화를 수락하면 B의 신호가 아까의 방법대로 A로 가면서 실시간으로 계속 신호를 주고 받는 식으로 통화가 이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과학전문가입니다.

    전화의 원리의 핵심은 음성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꿔주는 원리에 있습니다. 즉, 인간의 음성을 전류로 바꾸고 전류를 다시 음성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성대의 진동이 만들어 내는 공기의 진동을 혀의 위치나 입의 모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여러 가지의 음파를 입 밖으로 내보내듯이 송화기에는 인간의 성대와 같은 진동판이 있습니다. 이 진동판은 음성에 따라 흔들리고, 그 진동의 압력이 진동판 바로 뒤에 있는 탄소립(탄소가루)에 전달됩니다. 탄소립의 전기저항은 압력에 따라 변화하므로 전류도 음성의 변화와 동일하게 변화합니다. 즉 탄소가루를 통해 음성과 동일하게 변화된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입니다. 음성전류라 불리는 이 전류가 바로 상대방의 수화기로 전달되게 됩니다.

    이 음성전류는 수화기에서 다시 전류에서 음성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수화기에는 영구자석에 코일이 감긴 전자석과 소리를 만드는 진동판이 있습니다. 진동판은 항상 영구자석에 의해 흡인되어 있으나 코일에 음성전류가 흐르면 그 전류의 변화에 따라 자력선이 변화하면서 진동판은 음성전류에 맞춰 진동하게 되는 것입니다.


  • 전화의 원리는 사람이 내는 목소리를 그대로 진동판으로 재현한 것입니다.

    목소리는 성대를 진동시켜 나오는 소리입니다.

    그러면 상대방의 전화기가 이때의 진동을 그대로 재현하면 상대방에게 전달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