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7.20

근친혼으로 인한 유전병이 생기는 원인이 무엇인가요?

티비를 보는데 합스부르크 가문이 근친혼을 통한 결혼 정책으로 턱이 길게 돌출되고 아랫입술이 튀어나오는 등 여러 가지 유전졍이 생겼다고 하던데 근친혼으로 인한 유전병이 어떤 이상으로 생긴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근친혼으로 인한 유전병은 "근친혼증" 또는 "근친결혼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근친혼증은 주로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두려워하는 지방집단이나 일부 문화권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돌연변이들은 일반적으로 우리 몸의 생리 작용과는 어긋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자주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근친혼 증후군은 부모로부터 동일한 돌연변이를 상속받은 자식들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근친혼 증후군은 각 근친혼된 부부에서 자식들이 더 많은 유전자 돌연변이를 상속받게 되면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유전적으로 장애나 질병을 가진 자식들의 출생 확률이 증가합니다. 일반적으로 근친혼 증후군은 염색체 이상, 대형 염색체 변이, 자동 열성 염색체 변이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유전적 질병이나 신체적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한 근친혼 증후군의 예로는 절대성 키작음, 유전적 질병(시시피), 지능적인 능력 저하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증후군들은 근친혼이 반드시 발생시킨다는 것은 아니며, 상대적으로 드물게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근친혼은 가까운 혈연 관계에 있는 사람들 간의 결혼이나 번식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형태의 결혼은 유전적으로 비슷한 유전자를 가진 개인들 간의 결합을 증가시킵니다. 그 결과로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고, 유전병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유전병은 유전자에 이상이 있는 질병이며, 유전자 변이 또는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근친혼은 돌연변이가 있는 유전자를 가진 개인들 간의 결합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해당 돌연변이가 증가된 유전적 적합도를 가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유전병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근친혼은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유전자 풀의 다양성이 줄어들게 되어 유전적으로 적응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유전적으로 적응력이 낮은 개인들이 유전적으로 적응력이 높은 개인들과의 결합에 비해 유전적인 단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염색체 속의 각 유전 형질을 만드는 유전자들은 짝을 이뤄 한 쌍의 대립유전자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한 유전형질을 A, 이에 대립하는 형질을 a라 하고 A는 a에 대해 우성이라고 하면 AA이면 A가 발현되고 aa이면 a가 발현될 것이다. 그런데 Aa일 경우에는 우성인 A가 발현된다. 이처럼 이형접합일 때 발현되는 유전인자는 우성인자, 발현되지 않는 유전인자는 열성인자라고 한다.



    이때 근친혼에 의한 질병은 주로 상염색체 열성 질병입니다.


    Aa보인자 여성과 Aa보인자 남성이 만나서 aa유전형을 가진 자녀가 태어나면 환자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물학적으로 근친혼으로 자손을 생산하는 행위는 유전자 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유전병의 발현 확률을 극적으로 높이기 때문에 종의 번식과 생존이라는 의미에서는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예를 들면 50명당 1명 꼴로 보인자이고 열성 유전되는 유전병이 있다고 가정할 경우, 해당 유전병의 발병 확률은 대략 1만 명당 1명꼴이 된다. 하지만 자신과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남매와 근친혼을 하여 자손을 만들 경우, 한쪽이 해당 유전병의 보인자일 경우 다른 한 쪽도 해당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확률이 1/2이기 때문에, 유전병이 발현할 확률이 400분의 1로 올라간다. 유전적으로 관련성이 없는 입양간 근친혼이 대체로 관용적인 반면 혈연간 근친혼이 엄격히 금지되는 가장 큰 이유가 이 때문이다.

    출처 : 나무위키 - 근친혼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근친혼을 하면 유전병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 이유는 근친혼을 하면 유전적으로 비슷한 사람들이 자식을 낳기 때문입니다. 유전적으로 비슷한 사람들이 자식을 낳으면 유전병을 일으키는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돌연변이는 유전자의 구조가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돌연변이가 생기면,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단백질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유전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