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뽀로로
뽀로로23.02.17

CPI, PPI의 개념과 관계는 어떻게 되나요?

경제용어 중에 많이 나오는 용어인 CPI, PPI의 각각의 개념은 어떻게 되는지 또한 CPI와 PPI는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서로 어떤 영향을 끼치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PI와 PPI는 서로 관련이 있지만 경제의 다른 측면을 반영하는 두 가지 중요한 경제 지표입니다.

    CPI(소비자 물가 지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계가 구매한 상품 및 서비스 바구니 가격의 평균 변화를 측정한 것입니다. 소비자의 생활비와 인플레이션을 추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CPI는 주어진 기간 동안 고정된 상품 및 서비스 바스켓의 가격을 기본 기간의 동일한 상품 및 서비스 바스켓 가격과 비교하여 계산됩니다.

    반면 PPI(생산자 물가 지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의 평균 변화를 측정한 것입니다. 그것은 국내 생산자들이 생산물에 대해 받는 평균 가격 변화를 측정합니다. 생산자에 대한 투입물 가격의 변화가 생산물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PPI는 종종 인플레이션의 선행 지표로 사용됩니다.

    CPI와 PPI는 PPI의 변화가 CPI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이 있습니다. 생산자는 투입물의 가격 변화를 경험하면서 산출물의 가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소비자가 해당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지불하는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많은 제품의 주요 투입물인 유가가 상승하면 해당 제품의 PPI도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과적으로 생산자는 해당 제품의 가격을 인상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CPI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CPI와 PPI 간의 관계가 항상 직접적인 것은 아니며 하나의 변화가 항상 다른 하나의 변화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수요와 공급의 변화와 같은 다른 요인들도 CPI와 PPI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의 구매력을 가늠하는 지수라면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의 비용증가, 즉 생산원가와 관련이 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생산자가 국내(내수)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의 변동을 종합한 지수로서, 한국은행에서 매월 작성하여 공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