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대견한코끼리286
대견한코끼리28622.02.16

손에 빨간 이상한게 생겼어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첨에 생겼을때 간지러웠고

지금은 피부에 닿으면 멍든거 같은 느낌이에요

색이 점점 진해지고 살짝 부어있는 느낌입니다

그리고 점점 더 붓는 것 같아요

빨간거 안에 모공만한 수포?? 들이 보이구요 ㅠㅠ

무슨 일인가요 ㅜㅜ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2.18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국소적인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병변일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됩니다. 항바이러스 연고가 해당증상 호전에 일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가까운 병원에서 처방받으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상기 증상은 습진이 가장 의심됩니다. 가까운 피부과에서 바르는 약을 처방받기 바랍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위의 증상은 한포진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포진은 손이나 발의 피부에 생기는 비염증성 질환을 말하며, 특히 손가락의 양쪽 옆, 손톱 주위에

    가장 많이 생깁니다. 주로 스트레스나 피로 등이 원인이며, 비교적 흔하게 발생합니다.

    한포진은 주로 40세 미만의 젊은 연령층에 잘 생기는 피부질환이다. 물집이 생기기 전, 혹은 직후에

    가려운 증상이 함께 나타나며, 가려움증은 물이나 비누에 접촉하면 더 심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투명하면서 피부 안쪽에 있어 잘 터지지 않는 1~2mm 정도의 작은 물집이 무리 지어 발생하며, 따갑거나

    따듯한 느낌이 동반될 수 있고, 작은 물집이 합쳐지며 큰 물집이 되기도 하며, 물집을 억지로 터트리면

    주변 피부로 번지기도 합니다.

    한포진의 발병 원인은 다양하여, 스트레스, 피로, 다한증, 계절적 요인(특히 여름철), 경구피임약, 아스피린,

    흡연, 화학물질 등과 연관됐을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세제, 고무장갑, 화학약품, 기름, 니켈, 크롬 등에 자주

    노출되는 사람에게 발병률이 높습니다. 이미 한포진이 발생한 사람 또한 화학물질 노출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손을 씻을 때도 순한 성분이 함유된 비누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치료는 주로 병변에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면 대부분 호전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두드러기의 원인은 물리적인 자극, 약제, 음식 등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 원인을 찾기 위해서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원인이 규명된 경우 해당 원인을 피하는 것이 첫 번째 치료입니다.

    증상에 맞게 치료하는 것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고, 이후에도 증상이 조절되지 않으면 단기간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병원 방문하여 상담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권준구 의사입니다.

    한포진은 보통 손가락과 발가락 피부에 작은 물집이 생기는 것으로 비염증성 수포 질환입니다.

    초기 증상으로 손발 가려움증이 있다가 물집이 생기게 됩니다. 보통 물이나 비누에 접촉하면 증상이 심해지며 습진성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보통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를 발라서 피료하며 광선치료가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재발 가능성이 높은 질환으로 물집을 터뜨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많이 가렵지 않으실까 싶네요. 사진만 보면 한포진이 가장 의심됩니다. 습진의 일종이지요. 좀 더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는 피부과 진료가 필요할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현재 해당 하는 부분이 생긴지는 얼마나 되었을까요.

    사진만 봐서는 정확하게 어떤 상태인지 알기는 어렵습니다.

    가능하면 가까운 피부과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