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사랑하며살며배우기
사랑하며살며배우기20.08.24

가상화폐 지갑이 뭔가요? 개인지갑을 만들어야 하는가요?

얼마전부터 거래소에 입금하여 현재 가상화폐를 매매하고 있는데, 지금 매매하고 있으면 거래소 지갑인가요?

아니면 개인지갑을 따로 만들어야 되는가요?또한 코인별 지갑을 따로 따로 만들어야 되는가요?

지갑의 개념을 올바로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가상화폐 지갑이 뭔가요? 개인지갑을 만들어야 하는가요? 라고 문의 하셨는데요.

    가상화폐 지갑은 문의 하신것처럼 거래소 지갑주소와 개인 지갑주소로 나누어집니다.

    거래소 지갑은 쉽게 설명드리면 은행 계좌번호 같은 개념입니다. 은행을 거래하려면 은행계좌번호가 있어야 거래를 할수 있는것처럼 거래소에서 은행처럼 계좌번호를 부여한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개인 지갑의 경우 우리가 가지고 다니는 지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단 우리가 사용하는 지갑은 현금 카드등을 보관할수 있는 물리적인 지갑이지만 암호화폐 개인지갑은 암호화 되어있는 지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개인지갑의 경우 상장이 되지 않은 코인의 에어드랍을 받거나 ico등의 투자를 참여하기위해 필요하고 또는 거래소 지갑에 보관이 아닌 장지 투자를 위해 코인을 보관하는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개인지갑은 핫월렛과 콜드월렛으로 나누어집니다.

    감사합니다.


  • 거래소에는 고유한 지갑이 있고, 그 지갑에 거래소의 자산들이 보관되어있습니다.

    만약 거래소에서 자산을 출금하시려면 개인 지갑을 생성하시고, 그 지갑 주소를 기입 하셔야 합니다.

    대표적인 개인 지갑 어플에는 trust wallet과 metamask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trust wallet을 추천 드립니다.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블록체인 지갑을 지원하고 있고, 손쉽게 지갑 주소를 생성, 관리 하실 수 있습니다.

    trust wallet에 관한 정보는 https://trustwallet.com/ko/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BJ은봉입니다.

    거래소에서 는 암호화폐마다 암호화폐 지갑주소를 생성할수 있습니다.

    이것은 개인의 거래소에있는 암호화폐지갑주소입니다.

    정말 나는팔지않고 보관을할것이다하시면 거래소에 납두는것보다 지갑어플이나 보관할수있는지갑을 만들어서 거기에 보관하실수 있지만 만약에 그냥 거래소에서 거래할려는 목적이시라면 거래소에 그냥 가지고 있으셔도됩니다.

    거래소에 있는 지갑주소같은 경우는 입금할때쓰이게됩니다.

    a라는거래소에서 b라는거래소에 옮길려면 b라는거래소에 해당코인의 입금주소가 필요하기합니다.

    여기서 b라는거래소의 해당코인의 입금주소를 입력하면 a라는거래소의 해당코인이 b라는거래소의 해당코인으로 바뀌게됩니다.

    코인별로 거래소개인지갑을 다만들필요는없고 이코인을 다른곳에서 입금하고싶다 하시면은 만드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현재 거래소에서 매매하고 있고, 해당 거래소에서 코인을 보관하시는 것이라면 거래소에서 해당 개인에게 제공한 지갑을 통해서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있는 것입니다. 개인지갑을 만들지 않고 거래소에서 그냥 보관하신다면 개인 지갑을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거래소 신뢰 문제나, 에어 드랍 같은 이벤트로 코인을 받고 싶으신 경우 종종 개인 지갑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이더리움 같은 경우는 MEW에서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MEW: MyEtherWallet의 약자로 해당 사이트에서 개인 지갑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코인마다 개인 지갑은 다 다르니, 해당 코인에 맞는 지갑에 정확히 보유 코인을 전송하셔야 되는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답변 채택 부탁드려요~


  • 단순히 한 거래소 내에서 매매할때는 지갑의 개념을 알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거래소끼리 혹윽 거래소에서 개인지갑이나 개인지갑에서 거래소로 코인을 전송할려면 지갑에 대해 알 필요가 있습니다.

    개인지갑을 코인마다 사용하는 지갑이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습니다. 예전에는 거의 이더리움 지갑인 마이이더월렛을 사용하였는데 요금은 코인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엔진지갑도 있고 카톡이 클레이 지갑 역할을 하기도 하죠. 다른 지갑을 사용하는 코인이 있으면 각 코인에 맞는 지갑을 만드셔야 됩니다. 그리고 지갑에 있는 코인을 거래소로 보낼 때는 거래소에서 그 코인에 맞는 주소를 생성하여 개인 지갑 출금 주소에 입력 후 출금을 눌리시면 됩니다.

    지갑이랑 개인의 코인을 보관하는 곳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거래소에 입금하여 암호화폐를 매매하고 계시다면 그곳에 있는 자산은 거래소 지갑에 보관되어 있는 것 입니다.

    개인적으로 지갑을 만드셔야 그것이 개인적인 지갑이 되는 것이며 지갑의 종류와 관리주체는 정말 많습니다.

    과거부터 유명했던 온라인형태의 지갑으로는 mew가 있습니다. 마이이더월렛의 줄임말이죠 이더계열의 코인들을 다 추가할 수 있는 온라인 지갑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온라인지갑이다보니 해킹의 위험이 항상있죠

    따라서 나노렛져같은 하드웨어 usb형태의 지갑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지갑들은 오프라인형태에 있으면서 필요할때만 연결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콜드월렛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블록체인 지식답변자 다라닝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지갑이란 쉽게 usb같은 저장공간이라 이해하시면됩니다.

    데이터인 코인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인 거죠.

    화폐를 은행계좌에 넣어두듯

    코인을 지갑에 넣어두는 개념입니다.

    계좌에서 입출금 수수료가 발생하듯

    지갑에서도 입출금 수수료가 발생하구요.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가 필요하시면 답변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인라인으로 답변 드렸습니다.

    얼마전부터 거래소에 입금하여 현재 가상화폐를 매매하고 있는데, 지금 매매하고 있으면 거래소 지갑인가요?

    네 맞습니다.

    아니면 개인지갑을 따로 만들어야 되는가요?또한 코인별 지갑을 따로 따로 만들어야 되는가요?

    거래소 있는 가상화폐를 인출하여 별도로 보관하고 싶으신 경우 개인 지갑을 만드시면 됩니다. 네 코인별로 별도의 지갑또는 지갑내의 주소가 필요합니다.

    지갑의 개념을 올바로 알고 싶습니다.

    기존의 금융과 비교하자면 지갑은 통장과 같습니다. 그런데 주식거래용통장, 그리고 코인의 종류는 금융회사라고 보시면 되고, 금융회사내에서도 적금, 예금통장등이 구분되는데요, 이를 지갑내의 주소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부는 메모로 구분하기도 하니, 인출하시기 전에, 그리고 개인지갑을 만드실때에는 꼭 이를 확인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