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파란라마카크255
파란라마카크255

전자계전기 제어 방향에 따른 수명 연관성 문의드립니다.

220v로 mc, eocr, relay, 컨트롤보드 연결된 회로인대 릴레이로 전류를 제어 합니다. 전자식 계전기 eocr의 b접점으로 상선제어, 중성전 제어 아니면 상시 도통 세가지 밥법에 eocr 수명 영향과 이 이유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EOCR의 수명은 전류 제어 방식에 따라 다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EOCR은 전류가 흐를 때 동작하므로 B접점을 사용한 상선 제어에서는 필요에 따라 자주 동작할 수 있습니다. 반면 중성선 제어나 상시 도통 방식은 상대적으로 동작 빈도가 낮아 EOCR에 가해지는 물리적 스트레스가 적습니다. 따라서 상시 도통 방식이 EOCR의 물리적 수명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EOCR의 정격에 맞게 사용하고 외부 조건에 따라 과부하나 과전압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전자식 계전기(eocr)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eocr의 B접점을 활용한 제어 방식에 따라 수명이 다를 수 있는데, 이 중 상선 제어는 일반적으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횟수가 많기 때문에 릴레이와 같은 전자 기기 사이의 접점 마모로 수명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중성점 제어나 상시 도통 방식은 상대적으로 접점의 작동 빈도가 낮아 eocr의 수명에 더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수명은 주로 접점의 사용 횟수와 열화에 의해 결정되므로, 실제 사용 환경과 빈도를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신란희 전문가입니다.

    B접점을 상시 도통으로 사용하면 불필요한 전류가 흐르며 EOCR의 릴레이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EOCR의 수명을 위해 상선 제어가 가장 적합하며, 필요 시에만 접점을 사용해 회로 부하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EOCR Bㅈ버점을 이용해서 상선은 제어하는 것이 EOCR의 수명에 긍정적입니다.

    이는 상선 제어 시 EOCR 내부에 불필요한 전류나 과부하가 적어져서 내부 부품의 마모와

    열화를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전자식 계전기의 수명은 제어 방식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상선 제어, 중성선 제어 방식은 계전기가 자두 작동하게 되어 수명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상시 도통 방식은 계전기가 지속적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열 발생이 많고, 이로 인해 부하가 과중해져 수명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자식 계전기(EORC)의 B 접점을 이용한 상선 제어 중성전 제어 상시 도통 방식은 각각 EORC의 수명에 다른 영향을 미칩니다. 상선 제어 방식은 부하가 차단된 상태에서 EORC의 작동이 발생하므로 상대적으로 수명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중성전 제어 방식은 부하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EORC가 지속적으로 작동하게 되면 수명이 다소 짧아질 수 있습니다. 상시 도통 방식은 EORC가 계속해서 전류를 제어하는 방식이므로 과도한 열 발생과 잦은 작동으로 인해 수명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이들 방식에서 EORC의 스위칭 주기와 부하 상태에 따라 과부하나 열 발생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자식 계전기의 고장이나 수명 단축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