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23.09.22

빛이 둥근 형태로 보이는 이유?

멀리서 빛이 나오는걸 바라볼 때면 처음 그 모양이 어찌 되었든 멀리서 보게 되었을땐 둥근 형태로 보이는듯한 착각을 하게 되는데요.

이게 모든 물체가 멀리서봣을때도 똑같다기 보단 빛은 일정 거리부터 본래의 형태를 잃고 둥글게 보이는듯한 기분이 드는데.

빛이 멀리서 보았을때 둥글게 보이는 이유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 멀리서 보았을 때 둥글게 보이는 현상은 대부분 굴절에 의한 현상입니다. 굴절은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속도와 방향이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빛은 공기와 같은 투명한 매질을 통과하다가 다른 매질인 대기나 물 등으로 옮겨갈 때 굴절이 발생합니다. 이때 굴절은 빛의 속도와 각도에 따라 발생하는데, 멀리서 보는 물체의 빛은 여러 경로를 거치며 우리 눈에 도달합니다.

    각 경로의 빛은 굴절에 의해 조금씩 다른 각도로 우리 눈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러한 다양한 경로로부터의 빛이 결합되면, 우리 눈에서는 빛이 모여 둥글게 보이는 것처럼 인식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 멀리서 보았을 때 둥글게 보이는 현상은 빛의 '굴절' 현상 때문으로 추측됩니다.

    굴절은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이동할 때 속도가 변하면서 방향이 바뀌는 현상을 말하는데, 물 속에 있는 물고기를 보면 실제 위치와 다르게 보이는 것도 이런 빛의 굴절 때문입니다.

    또한, 빛이 공기와 물의 경계면에서 휘는 굴절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제법 깊은 물이라도 물 밖에서 보면 빛의 굴절로 인하여 얕게 보이는 것도 바로 빛의 굴절 현상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