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토론 이후로 자주 언급되는 경제에서의 승수효과는 어떤 말인가요?
최근 대선 시즌이라서 주요 후보들의 공약이나 말을 자주 확인하는데 최근에 승수효과라는 말이 자주 나오더군요.
경제쪽으로 많이 사용되는 거 같은데 그렇다면 경제쪽에서 언급되는 승수효과는 뭐고 대표적인 예시는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경제에서의 승수 효과란 어떤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경제에서의 승수 효과란 초기 지출이 경제 전체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의미합니다.
이것이 정의인데 제 방식 대로의 예를 들어 보자면
A에게 100원이 있는데 이를 은행 B에 넣으면 A, B 모두 장부상으로는 100원씩 갖게 되며
B 은행은 C라는 사업가에게 100원 대출을 해주면 A,B,C 모두가 각자 100원씩 갖게 됩니다.
실제 돈은 100원이 입금된 것이지만 회계상, 장부상으로는 300원이 된 것이죠.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승수효과라는 것은
경제 현상에서, 어떤 경제 요인의 변화가 다른 경제 요인의 변화를 유발하여파급적 효과를 낳고 최종적으로는 처음의 몇 배의 증가 또는 감소로 나타나는 총효과를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승수 효과는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제시한 개념으로, 정부 지출이나 민간 투자가 늘어났을 때, 그것이 최초의 지출 규모보다 훨씬 큰 규모로 국민 소득 또는 총수요를 증가시키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승수 효과는 돈이 돌고 도는 경제의 특성에서 비롯됩니다. 승수 효과는 주로 재정 정책의 효과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정부가 100억 원을 들여 도로 건설 사업을 시작하면, 이 100억 원은 건설 회사와 근로자들에게 임금이나 자재 구매 대금으로 지불됩니다. 즉, 건설 회사와 근로자들의 소득이 100억 원 증가합니다. 소득이 늘어난 건설 회사와 근로자들은 이 돈을 모두 저축하지 않고 일부를 소비합니다. 예를 들어, 소득의 80%를 소비한다고 가정하면, 이들은 80억 원을 옷, 음식, 가전제품 등을 구매하는 데 사용합니다. 이 80억 원은 다시 옷가게, 음식점, 가전제품 회사 등의 소득으로 이어집니다. 소득이 늘어난 이들 역시 80억 원의 80%를 다시 소비하고, 이 돈은 또 다른 사람들의 소득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승수효과란 정부 지출이나 민간 투자가 연쇄적으로 소득과 소비를 유발해 국민소득을 증대시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