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총명한랍스타156
총명한랍스타15622.11.04

지구의 대기권은 여러 권역(층)으로 나눠지는데 왜 일까요

지구의 대기권은 여러 층으로 나눠져 있는데 왜 그럴까요 그리고 그 층별로 어떤 일들이 일어날까요

이런 층들을 인위적으로 우리가 살아가는데 이롭게 변화를 시킬수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각 층별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류권 - 높이 올라갈수록 지표면에서 나오는 지표 복사 에너지가 도달하기 힘들기 때문에 온도가 감소합니다.

    성층권 - 오존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오존이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태양에 가까워질수록 온도가 높아집니다.

    중간권 - 오존층이 없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어 온도가 감소합니다.

    열권 - 높이 올라갈수록 태양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온도가 올라갑니다.

    층별로 이러한 특징이 나오는 이유는 중력과 대기로 인해 각 층별 환경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권은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뉩니다.

    이렇게 나뉘는 이유는 층마다 특징이 있고 온도의 분포도의 차이가 있어 이를 기준으로 나눈 것입니다.

    대류권(0~11km)은 지열이 태양에너지의 기여도 보다 강해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떨어집니다. 그리고 이로 인해 대류현상 및 기상현상이 일어나죠.

    성층권(11~50km)은 오존층이 존재하며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역할을 해줍니다. 태양에너지를 머금기 때문에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올라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대류현상이 없어 항로로이용하죠.

    중간권(50~80km)은 성층권의 오존층의 열 에너지에 의존됩니다. 그래서 위로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온도가 떨어지죠. 그래서 대류현상이 일어납니다. 하지만 대기가 희박해 기상현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열권(80km~)은 대기가 굉장히 희박하며 이 희박한 기체가 태양에너지를 직접받기 때문에 운동이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높이 올라갈수록 태양에너지를 받는 양이 증가해 온도가 올라가죠. 또한, 전리층이 존재하여 라디오 전파를 반사하는 영역입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기권은 기체층으로 지표에서 고도 약 1,000㎞ 까지 존재하며 주로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에 이산화탄소, 헬륨, 아르곤 등의 희소 기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수증기를 제외한 공기 성분은 약 80㎞ 까지 거의 일정합니다.

    고도에 따라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외기권 등으로 구분됩니다.

    지구대기의 역할은 생명체에 산소공급, 온실효과를 통한 지구 보온, 태양으로 오는 자외선 차단,

    저위도 에너지를 고위도로 운반, 운석으로부터 지구 보호 등 입니다.

    지구대기권은 특성에 따라 지표면에서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외기권의 다섯 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류권 - 전체 대기 질량의 80% 소유, 무거운 공지분자

    성층권 - 지상에서 올라갈수록 온도 상승, 오존이 자외선을 흡수하며 가열

    중간권 - 밀도가 매우 낮아 적은 열로도 온도가 많이 상승, 태양풍을 직접 맞음

    외기권 - 우주 공간과 접하는 영역, 대부분 수소와 헬륨



  • 여러층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높이에 따른 기온의 변화입니다. 지표면에서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눠지는데 대류권은 지구에서 나오는 열의 영향으로 지표면에서 멀어질수록 즉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하강합니다. 반대로 열권은 태양과 가깝기 때문에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올라가죠.


    그런데 성층권에 오존층이 존재하다보니 자외선을 흡수하면서 온도가 점점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면서 기온의 변화가 생기면서 성층권은 높이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상승하고 중간권은 높이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구분되어졌습니다.



    대표적으로 성층권은 비행기가 다니는 항로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