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안에 있으면 전파가 잘 안통한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물놀이 가서 핸드폰을 물에 젓지 않게 넣은 뒤에 놀다 보니깐 옆에 사람은 인터넷이 잘되는데 물속에서는 잘안되는걸 봤거든요. 그래서 물안에 있으면 전파가 잘 안통한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물 안에 있으면 전파가 잘 안 통하는 주된 이유는 결국 물의 특성때문입니다. 물의 높은 전기 전도성과 전자기파 에너지의 흡수 때문에 전자파의 이동을 방해하는거죠.
감사합니다.
1명 평가물이 전파를 차단하는 원리물 분자는 극성을 띠고 있어 전자기파(전파)가 통과할 때 에너지를 흡수합니다. 휴대전화가 사용하는 고주파 전파(3G, LTE 등)는 물을 통과하면서 급격히 감쇠되는데, 특히 수심이 깊어질수록 굴절 현상이 심해져 전파 전달이 어려워집니다. 이론적으로는 수심 10m까지 전파 전달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수심 3m를 한계점으로 봅니다.물 표면 위에서는 기지국 신호가 잘 도달하지만, 물 속으로 들어가면 전파가 물에 흡수되고 굴절되어 기지국과의 통신이 끊기게 됩니다. 이는 잠수함이 수중 통신을 위해 휴대전화보다 훨씬 낮은 주파수와 큰 안테나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경험하신 상황 설명질문자께서 물놀이 중에 경험하신 상황은 정확히 이 원리 때문입니다. 방수 케이스에 넣었더라도 핸드폰이 물 속에 잠기면 전파가 물에 차단되어 인터넷이 잘 되지 않지만, 물 밖에 있는 사람은 기지국 신호를 정상적으로 받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방수 기능은 물리적인 침수만 막아주지, 전파 차단 현상까지 해결해주지는 못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물은 전파를 강하게 흡수하고 약화시키는 매질이라 스마트폰이 쓰는 고주파 신호가 물속에서 빠르게 사라져 같은 장소라도 물속에서는 전파가 잘 안 잡힙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물속에서 전파가 잘 안통하는 이유는 그 전파를 보내는 무선주파수 대역인 2.4Ghz 대역의 전자파가 물에 잘 흡수 되어서 입니다. 그래서 비가 오거나 하는 날에도 전파가 잘안통하는 이유와 동일합니다.
2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