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9.17

악어와 악어새는 공생 관계가 맞나요?

예전에 학교에서 자연계의 대표적인 공생 관계에 있는 동물들이 악어와 악어새라고 배웠는데요, 최근 그게 아니란 얘기를 들어서요, 그들은 공생 관계인가요?아님 우연한 계기로 그렇게 잘못 알려진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악어가 입을 벌리고 있는 이유는 악어새가 악어 이에 낀 음식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땀샘이 입안에 있어서 기온이 높을 때, 땀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입을 벌리고 그 땀이 공기중에서 증발되며 체온을 낮춘다고 합니다. 그리고 악어의 이는 음식을 씹기위함이 아니라 음식을 찢기 위함이라서 듬성듬성 나져 있어서 사이에 이물질이 낄일이 별로 없고 이가 계속 빠지고 나기 때문에 굳이 이사이에 낀 이물질을 뺄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또한 악어새로 불리는 새는 이집트 물떼새로 작은 벌레, 식물의 열매, 씨앗 등을 주로 먹는 새라서 굳이 악어의 이빨에 낀 고기를 먹지 않는다고 합니다. 간혹 악어가 벌린 입속에 악어새가 있는 사진을 볼 수 있는데, 이 사진은 우연히 운이 좋게 찍힌 사진이라고 합니다. 이런 악어와 악어새가 공생관계라는 것은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인 ‘헤로도토스’와, 기원전 4세기 아리스토텔레스의 '동물사'에서 악어와 악어새의 관계를 ‘이빨 청소’로 언급한 뒤로 계속 전해져 내려왔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실 악어와 악어새는 공생관계가 아닐 수 있다는 설이 최근의 경향입니다.

    악어는 평생 3천개가 넘는 이빨이 나기 때문에 사실상 이빨 사이의 청소가 필요없습니다.

    이빨 사이 간격도 넓어서 더욱 그렇죠.

    옛날에 악어의 입 안에 악어새가 앉아 있는 모습을 보고

    누군가가 악어의 이빨 사이에 있는 찌꺼기를 먹는게 아니냐는 말을 해서 널리 퍼트려진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교과서에도 이러한 공생관계에 대해서 서술한 부분이 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실제로 악어에게 악어새는 반드시 필요한 존재는 아닙니다.

    무수히 많은 이빨과 안정된 간격으로 이빨에 낀 음식물을 제거할 필요가 없는 것 이죠. 흔히 알고 있는 잘못된 상식 중에 한 가지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악어와 악어새는 공생관계라고 보기 힘듭니다. 왜냐하면 악어는 이빨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뺼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악어새가 먹이를 먹기 위해서 종종 입에 붙어있는걸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악어새가 악어의 입을 청소해 주는 동안 악어는 입을 닫지 않는다는 잘못된 상식이 흔히 널리 알려져 있다. 심지어 교과서에도 실려 있는 잘못 알려진 상식 중 하나. 악어는 평생 50회 이상에 걸쳐 이빨 8000여 개를 갈고 이 사이도 넓은데다가 먹이도 그냥 꿀꺽 삼켜버려서 이 사이에 먹을만한 찌꺼기가 끼어 있을 건덕지가 거의 없으므로 악어새 같은 치과 의사는 불필요하며, 악어새가 악어 입에 들어가는 건 단순한 자살행위일 뿐이다. 악어새 입장에서도 악어새의 주식은 벌레와 식물의 씨앗이므로, 악어의 이빨에 남은 고기조각을 노릴 이유가 없다.


    악어새가 악어의 입을 청소해 주는 동안 악어는 입을 닫지 않는다는 잘못된 상식이 퍼지게 된 원인은 이 새가 악어의 입속을 들락거리는 장면이 포착된 적이 있기 때문인데, 그때도 딱히 찌꺼기를 청소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이 오류의 기원은 기원전 4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그리스의 학자인 헤로도토스의 기록 중 이런 서술이 있었다고 하고 이후 사람들의 의식에 공생을 대표할 정도로 전형이 될 만하거나 특징이 있는 예로 어느 정도 고정된 위치를 차지하게 됐다.


    이 전설 같은 이야기는 공생 관계를 대상으로 한 어떤 증거도 여태껏 밝혀진 적이 없는 터무니없는 헛소문에 불과하다. 실제론 서로 아무 상관이 없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악어가 먹이를 먹은 후, 입을 벌리고 있으면 악어새가 입 안으로 들어가 이빨 틈에 낀 음식물을 청소 해주며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다고 알려져 있죠. 그런데 실제로는 두 동물의 공생 관계가 증명되지 않은 추측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악어는 평생 동안 3,000개가 넘는 이빨이 빠졌다 났다 반복됩니다. 새로운 이빨이 다시 돋아나기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해줄 치과 의사가 필요하지 않답니다. 또 악어는 이빨 사이가 넓어 찌꺼기가 심하게 끼지 않는데 악어의 이빨은 씹는 용도가 아니라 사냥 후 먹잇감을 찢는 용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집트물떼새는 작은 벌레, 식물의 열매, 씨앗 등을 주로 먹는 새라서 육식동물인 악어의 이빨에 낀 고기를 먹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럼 깊이있는 질문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악어와 악어새는 공생 관계를 형성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이 관계는 상호 협력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악어는 악어새를 허물나게 하지 않고, 악어새는 악어 주위에서 이동하는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악어는 대개 입을 크게 벌리고 턱을 열어 먹이를 잡는 특징이 있는데, 이때 악어새는 악어의 턱이나 이빨 사이에서 남은 잡식 동물들을 먹이로 삼습니다. 악어새는 악어 주위에서 날아다니며 악어의 입 안이나 피부에서 먹이를 찾아냅니다. 이렇게 함께 생활함으로써 악어는 입안의 청소와 악어새는 먹이를 얻는 이점을 얻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악어와 악어새는 공생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 정설입니다. 악어와 악어새가 함께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지만, 이는 공생 관계가 아닌 우연의 일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