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4.07

암보다 더 무서운 병이 콩팥병이라고 하던데 콩팥이 완전 망가지면 어떻게 되는 건가요?

나이
5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고혈압/고지혈

콩팥기능이 떨어지고 있는데다가 고혈압도 조절이 안돼서

여러가지로 스트레스에 우울증까지 오네요.

혈액투석을 받지 않으려면 조금이라도 신장기능이 남았을 때

철저한 관리를 하라고 병원에서 신신당부를 합니다.

기능이 30% 남았다고 하던데 관리가 안되면 급격히 나빠진다고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도 막막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고혈압 고지혈 요산 관리를 철저하게 하시고

    염분제한 당분제한 체중감량

    정기적으로 신장기능검사 정도가 최선일 것 같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만성 신부전은 콩팥의 기능이 서서히 저하되어 신장 기능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된 상태를 말합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노폐물 배설, 수분 및 전해질 조절, 호르몬 생성 등의 기능이 원활하지 않게 됩니다. 신장 기능이 완전히 소실되면 투석이나 신장 이식 같은 신대체요법이 필요하게 됩니다. 투석은 주 2~3회 혈액투석을 받거나, 매일 복막투석을 시행해야 하므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현재 신장 기능이 30% 정도 남아있다면, 투석 전 단계(4기)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신장 기능 보존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1. 식이 관리: 저단백, 저인, 저칼륨 식이를 유지하고, 나트륨과 수분 섭취를 제한합니다.

    2. 혈압 조절: 목표 혈압을 130/80 mmHg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생활 습관 개선과 함께 항고혈압제를 규칙적으로 복용합니다.

    3. 혈당 조절: 당뇨병이 동반된 경우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빈혈 관리: 철분제나 조혈제를 사용하여 적정 수준의 혈색소를 유지합니다.

    5. 정기 검진: 3개월마다 신장 기능 검사 및 합병증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합니다.

    6. 생활습관 개선: 금연,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으로 전신 건강을 유지합니다. 말기 신부전으로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는 환자와 의료진 간의 긴밀한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식사와 약물 복용, 정기 검진을 철저히 지키고, 의사와 꾸준히 상담하여 건강 상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합니다.
      만성 신장병은 환자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큰 부담이 되는 질환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담당 의사와 상의하시고, 필요하다면 심리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상담이나 환우 모임 참여를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포기하지 말고 희망을 갖고 치료에 임하신다면 충분히 관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콩팥, 즉 신장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혈액을 필터링하여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고,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며, 혈압 조절에 관여하고, 여러 호르몬을 생성하는 등의 기능을 합니다.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되고 만성적으로 기능이 저하되는 상태를 만성 신부전이라고 합니다. 만성 신부전이 진행되어 신장이 거의 혹은 전혀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 이를 말기 신장 질환(End-stage Renal Disease, ESRD)이라고 하며, 이 상태가 되면 혈액 투석이나 신장 이식과 같은 신대체 요법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신장 기능이 30%만 남았다는 것은 신장의 기능이 이미 상당 부분 손실되었음을 의미하며, 이 시점에서는 질병의 진행을 늦추고 남아 있는 신장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한 철저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신장 기능의 추가적인 손상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혈액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신장 기능 보존을 위해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관리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혈압 조절: 고혈압은 신장 손상을 가속화할 수 있으므로, 약물 치료와 생활 습관의 개선을 통해 혈압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뇨병 관리: 당뇨병이 있는 경우, 혈당 수치를 잘 관리하는 것이 신장 보호에 중요합니다.

    식이 요법: 염분, 단백질, 칼륨 섭취를 제한하는 등 신장에 부담을 주지 않는 식사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콩팥은 소변을 만들어내는 것 외에도 혈압을 조절하고 전해질을 조절하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합니다. 그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면 인공적으로라도 콩팥을 기능을 대체해 주어야 생존이 가능하며 그것이 바로 투석을 하는 것입니다. 아니면 신장 이식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