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CBJ
CBJ22.03.14

코로나19 한번 확진됬던 사람은

코로나19 한번 확진됬던 사람은 나중에 다시 코로나 증상있어도 pcr 검사 안해도 되는건가요? 아님 코로나 걸렸던 사람이라도 나중에 증상있으면 또 pcr검사를 해봐야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증상이 잇다면 pcr은 해주셔야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한번 걸렸더라도 형성된 항체가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을 수 있기때문에 재감염 가능합니다. 혹은 코로바 감염 후 항체를 형성하지 못하였거나 항체가 형성도었더라도 이 항체가 평생동안 지속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 사람마다 증상이 다르지만 확실한건 한번 걸렸다 해서 재발할 가능성이 낮지 않습니다. 3차 백신을 맞고도 코로나 재발을 겪는 환자도 있기 때문에 코로나의 기본 증세인 인후통이나 발열증세가 나타나실때는 자가진단키트를 먼저 이용하신 뒤에 pcr 검사를 추천해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코로나 확진후 7-10일정도가 지나면 일반적으로 자연치유되며, 증상이 사라졌다면 완전히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사라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가 PCR 검사 없이 자가격리에서 해제됩니다.

    다만 죽은 바이러스의 잔여물이 남아 있을 수 있어,

    당분간은 PCR검사에서 위양성이 나올 수는 있으나, 실제 전파력은 없는 상태입니다.

    그래도 사람마다 치유의 정도가 느리거나, 증상이 남아있는 경우, 조금이라도 전파가능성이 있을 수 있으니,

    예방을 철저하게 하시어 외부로 비말을 전파하지 않도록, 당분간 노력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 19 감염증에 한번 확진이 되었더라도 추후 재감염이 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따라서 재감염이 의심될 경우, 다시 검사를 시행하여 감염 여부를 확인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코로나에 감염되었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서 항체의 효과가 감소하고 변이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재감염이 될수 있습니다. 물론 코로나 감염 후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 전염력은 없더라도 pcr 검사에서 양성을 나타낼수는 있겠습니다. 이러한 경우 pcr 검사를 하더라도 실제 재감염 여부를 알수는 없겠지만 모든 경우에 코로나 감염 후 pcr에서 양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기에 재감염이 의심된다면 검사를 시행해 보셔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코로나 확진이 된 경우에는 3개월까지는 PCR검사에서 양성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래서 검사가 의미는 없지요. 재감염이 되었다고 해도 3개월 이후에 다시 PCR양성으로 나오는 경우를 정의하기 합니다. 대략 3개월 이내에는 증상이 있다고 해도 PCR검사를 권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백신접종, 확진되었던 사람 모두 항체가 만들어집니다만 두 경우 모두 항체가 영원히 지속하지 않기때문에 재감염될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의 경우 델타변이보다 감염확률이 5배높다고 알려져있고 재감염확률은 16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재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다시 검사를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격리해제후, pcr검사를 하면 전파가 불가능한 비활성 바이러스(사멸된 바이러스나 바이러스 잔여물)가 검출 되어 양성으로 판단 될 수 있지만 변이 바이러스 종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변이바이러스가 더 발견된다면 pcr를 통해 기존 확진자(회복자)들 사이에서 변이바이러스 확진자를 구분해 낼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6개월 이전이라면 재감염률이 낮기때문에 따로 검사를 안하셔도 되지만 오랜시간이 지낫고 증상이 계속 지속되시면 검사를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