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9

코스피와 코스닥은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주식시장을 보면 코스피와 코스닥 이렇게 두 시장이 있던데 왜 이렇게 두가지로

나눠져 있는건가요?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점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진우 경제전문가blue-check
    정진우 경제전문가23.01.09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유가증권시장이라고 불리는 코스피 (KOSPI) 는 주로 대기업들의 주식이 거래되는 곳이고, 코스닥 (KOSDAQ) 은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들이 상장되어있는 시장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KOSPI(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와 KOSDAQ(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은 모두 한국의 주식 시장 지수입니다. 코스피는 한국거래소(KRX)에 상장된 주식으로 구성된 시가총액 가중 지수로 한국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벤치마크로 여겨집니다.

    반면 코스닥은 코스닥 시장으로 알려진 KRX의 2 차 시장에 상장 된 주식으로 구성된 시가 총액 가중 지수입니다.

    코스닥 시장은 종종 더 위험하다고 여겨지지만 더 높은 수익을 올릴 가능성이 있는 중소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코스피의 요건이 너무 까다로워 이를 완화한 지수를 만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쉽게 말하면 코스피는 우리나라 대표기업 지수, 코스닥은 그에 반해 작은 기업들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좀더 자세히 보면,

    먼저 코스피는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어로 간단히 말하면 '국내 종합주가지수'입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된 기업들의 주식 가격 변동을 종합적으로 작성한 지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코스피는 대부분 국내 대형 기업들이 포진해 있습니다.

    코스피는 거래 규모가 매우 큰 시장으로 여기서 나타내는 코스피 지수는 우리나라 경제 상황이 가장 잘 반영되어 있는 민감한 지표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아래는 코스피 상장 요건입니다.

    • 자기자본 300억 이상

    • 영업활동 3년 이상

    • 매출액 최근 1천억 원 이상

    • 3년 평균 700억 원 이상 등

    그에 반해 코스닥은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의 약자로 미국 나스닥을 벤치마킹하여 만든 시장입니다.

    미국 나스닥과 비슷하게 주로 벤처기업이나 중소기업 위주로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는 과거 중소기업들이 증권거래소 상장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웠기 때문에 정부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만든 것이 바로 코스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코스닥 상장요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스피보다 매우 유연한 편입니다.

    • 일반 기업의 경우 자기자본 30억 원 이상 또는 시가총액 90억 원 이상

    • 영업활동 3년 이상의 조건

    • 벤처 기업의 경우 자기자본 15억 원 이상 또는 시가총액 90억 원 이상

    • 영업활동 기간 조건은 두지 않음

    이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을 살펴보면 상장된 기업들의 규모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로 1차, 2차 산업 및 중공업 계열의 대기업들이 상장되어 있는 코스피는 매출 규모가 크고 기업 간 거래가 활발해 투자 목적으로 상대적으로 안전할 수 있습니다.

    반면 코스닥은 전체 규모는 코스피와 비교했을 때 작지만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등 미래산업 위주의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수익률은 높을 수 있지만 투자에 따른 리스크가 큰 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스피는 나름 전통 우량주 중심의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스닥은 기술주 중심으로 지수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주요 우량 코스닥 상장 회사들이 코스피로 이전 상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과거 네이버, 카카오 등이 기술주임에도 코스피로 옮겨 상장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스피 상장 기업 중에서도 시가총액(그 회사 주가X주식 수)이 높고 거래량이 많은 회사 위주로 50개, 100개, 200개를 추려서 만든 지수입니다. 매년 6월 어떤 기업을 추가하고 뺄지 정해서 새로운 리스트를 만들어요. 그리고 코스피 상장 자격을 아직 갖추지 못한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이 포함돼 있는 시장입니다. 코스닥 지수의 기준 시점은 1996년 7월 1일입니다. 이날의 시가 총액을 1,000포인트로 계산합니다. 계산 방식은 코스피와 동일하고요. 덩치가 큰 만큼 변동성이 작은 코스피에 비해 시장의 출렁임이 큰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