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6.27

상처가 아물 때 그 부위가 간질간질거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다친 부위에는 항상 새로운 살이 나기 마련인데요

근데, 이렇게 아물때 그 부위가 엄청 간질간질한데, 그 이유는 체세포가 세포분열 하기 때문인가요?

유독 딱지가 생기고 그 딱지가 떨어질때쯤 엄청 간질간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처 부위가 재생되면서 히스타민이라는 면역 물질이 분비됩니다.

    바로 이 물질에 의해서 신경들이 자극되어 가려움을 느끼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

    새 살이 돋아나는 과정에서 주변 세포들에 자극을 주기 때문에 간지러움을 느끼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처가 아무는 과정에서 분비되는 면역 물질인 히스타민 등으로 인해 가려움증이 유발됩니다.

    특히 새 살이 돋아나는 과정에서 이러한 물질들로 인해 신경섬유의 말단 부위에 자극이 가해지면 더 큰 가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처가 아물면서 새살이 돋아나게 되는데, 새살이 흉터 부근의 통증감각을 자극하기 때문에 간지러움을 느끼게 됩니다.


  • 다친 부위에서 체세포들이 분열하여 새로운 세포들이 형성되고, 이들이 조직을 재생하여 상처가 치유되는 것입니다.

    각각의 체세포들은 세포 분열 과정을 통해 두 개의 딸 세포로 분리됩니다. 이 세포들은 성장하고 분화하여 다양한 조직 유형으로 발전하며,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세포와 조직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처 부위는 신진 조직으로 덮여나가며 아물어갑니다.

    다친 부위가 아물 때 간질간질한 느낌은 신경 회복 과정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다친 부위 주변의 신경 섬유들이 상처 치유를 도와주기 위해 성장하고 다시 연결되는 과정에서 간질간질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딱지가 생기고 떨어질 때의 간질감은 딱지가 형성되고 분리되는 과정에서 신경 섬유가 자극을 받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신경 섬유들이 분리되고 다시 연결되는 과정에서 간질간질한 감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딱지가 형성된 부위에서의 특정한 신경 활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처부위에서는 급하게 상처부위를 막는 딱지가 생기고 이후 새살이 자라나며 통증 감각을 느끼는 신경말초에 자극이 가해져 가려움증이 유발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처 부위가 아물면서 새로운 피부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피부는 얇고 민감하기 때문에 쉽게 자극을 받아 간지러움을 느끼게 됩니다. 혹은 상처 치유 과정에서 염증 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염증은 면역 체계의 일부로서 상처 치유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염증 반응에는 혈류가 증가하고 염증 매개체가 방출되는데, 이로 인해 간질거림과 같은 불쾌한 감각이 생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