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승부나 등수에 욕심이 있으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조카가 이제 초등학교 입학을 했는데,
평소에 놀 때 예를 들면 내가 제일 세고 빠르다, 내가 일등이다.
이런식으로 말을 자주 하는데, 어떤 이유에서인지도 궁금하고 어떻게 말을 해줘야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일등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누구나 좋아합니다.
특히 과거 어떤 형태로든 일등을 통해 관심과 칭찬을 받았던 좋은 기억이 점점 쌓여 일등을 선호하게 되었을 수 있습니다.
성장과정에서는 결과보다는 과정에 대한 칭찬을 자주 하셔서 일등 지향적, 결과지향적 사고를 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승부욕이라는 게 꼭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아이가 스스로 자신에 대해 발전시킬 수 있고 경쟁에서 싸워나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승부욕이 너무 과하면 안 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대화를 시도하셔서 승부욕을 눌러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신이 최고이고 일등이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방법은 아닙니다. 오히려 자존감이나 자존심이 높아 아이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타인을 무시하는 행동을 하면서 자신만을 치켜세우는
등의 모습이 보인다면 그 부분을 정확히 훈육해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승부욕이 있는 것이 꼭 나쁘게 볼 것은 아니지만, 외적요인들에 의한 동기부여가 아닌 내적요인의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이끌어 줄 필요가 있습니다. 타인과의 비교를 위한 승부욕은 동기의 지속성이 길지않을 수 있고, 스스로도 심리적으로 힘들 수 있습니다.
주변 어른들 께서도 등수나 다른 아이와 비교하는 말들보다 오롯이 아이의 성장과 노력에 대해 칭찬해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떤분들은 승부욕이 있는 아이들이 없는 아이들보다 낫다 라고 하지만 과유불급은 항상 안좋다고 생각합니다. 승부욕을 좀 누구려주는 노력을 해주세요
1 이해하기 : 아이의 마음 들여다보기
게임에서 져서 속상해하면 아이의 마음을 먼저 헤아려주세요.
2 공감하기 : 아이의 마음 두드리기
져서 속상하고, 동생이이 놀릴까봐 걱정되는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세요. ‘
3 해결하기 : 아이의 마음 열기
아이가 게임의 승패보다 게임 자체를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와 게임을 할 때 일부러 져 주거나 하지 마시고 아이에게 거절하는 경험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승부욕이 아주 강한 것으로 생각되네요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공부나 학습면에서 승부욕을
발휘하도록 유도해주시는 것도 좋을 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