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한테 물렸을 때는 파상풍 주사를 맞아야 하나요?
고객집에 방문했다가 강아지 한 마리가 갑자기 달려들어 다리를 물었는데 피가 살짝 나왔는데 강아지한테 물렸을 때에는 파상품 주사를 맞아야 하나요 집에서 키우는 강아지기 때문에 병균은 없어 보이던데요.
안녕하세요.
개들의 치아에는 어떤 균이 살고 있을지 알기 어렵기때문에
아무리 집개라고 할지라도 상처가 발생했다면 파상풍을 맞는것이 안전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강아지에게 물렸을 때는 광견병과 파상풍에 대한 우려가 존재합니다. 해당 반려견이 예방접종을 잘 맞았는지를 확인하셔야 하고, 질문자님도 파상풍 예방접종을 언제 맞았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다만 반려견이 이러한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굉장히 드물기 때문에 파상풍 접종여부 확인해보시고, 가까운 정형외과에서 상처 확인하면서 접종 10년이 지났다면 이번 기회에 함께 접종해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파상풍은 흙에 주로 사는 균으로 개에게 물렸고, 파상풍 예방접종한지 10년이 넘었으면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처에 피가 났으면 병원을 방문해서 상처를 잘 소독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개가 광견병 예방접종을 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다면 예방 조치를 본인이 받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파상풍 항생제는 기본적으로 처치하셔야 합니다
광견병은 확인을 해보셔야 하구요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집에서 키우는 강아지임을 고려했을때
우선적으로 적절한 상처소독 지속과 거불어, 예방적으로 파상풍 주사 권유드리긴합니다.
파상풍 주사의 간격은 10년 간격임을 말씀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집에서 기르는 강아지이고 예방 접종을 마쳤더라도 개에 물린 경우 항생제와 파상풍 주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인근 병원 진료를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강아지에게 물렸을 때는 파상풍 주사를 맞아야 하는지 여부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 강아지의 건강 상태
* 강아지의 예방접종 여부
* 물린 부위의 크기와 깊이
* 물린 후의 대처 방법
강아지가 건강하고 예방접종을 제대로 받았으며, 물린 부위가 작고 깊지 않으며, 물린 후 바로 소독을 했다면 파상풍 주사를 맞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강아지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거나 예방접종을 제대로 받지 않았거나, 물린 부위가 크고 깊거나, 물린 후 소독을 하지 않았다면 파상풍 주사를 맞아야 합니다.
파상풍은 파상풍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상처를 통해 감염됩니다. 파상풍균은 토양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강아지에게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파상풍균에 감염되면 근육 경련, 경부 강직, 발열, 오한,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파상풍 주사는 파상풍균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여 파상풍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파상풍 주사는 10년마다 한 번씩 맞으면 됩니다.
따라서 강아지에게 물렸을 때는 파상풍 주사를 맞아야 하는지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만약 파상풍 주사를 맞아야 한다면, 즉시 병원에 가서 파상풍 주사를 맞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