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24

한국 물가는 왜 다른 선진국 대비 비싼가요?

이번에 뉴스를 봤는데 서울 물가가 다른 나라들의 대도시에 비해서 많이 비싼 편이라고 해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왜 한국 물가는 다른 나라에 비해 비싼편이고, 이를 해결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대길 경제전문가blue-check
    이대길 경제전문가23.09.24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물가는 세계에서 10위권으로 조사 매체마다 조금씩 다릅니다만 이정도합니다

    작년기준 최저임금은 세계15위정도입니다

    한국의 소득격차는 예전부터 많이 차이가 납니다

    자산격차는 부동산 포함인데 부동산이 바로 처분되는 환금성이 있지않고

    주거 목적인 사람들이 수십억짜리 집을 갖고 있다고 해서 물가가 올라가는 것은 아니니 소득격차를

    가져왔습니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자영업자 비율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이것이 세계에서 가장 힘들도 장시간 일하며 갑질이나 수직관계에 있는 (개인심부름을 시키거나, 강제회식등등)

    에 원인으로 자영업자로 돌아가죠

    자영업자가 많으면 뭐가 문제냐

    임대소득자들이 이득이 됩니다 그러니 상가점포를 갖고 있는 부자들이 세를 올립니다

    분식점을 하나 할래도 점포비용 공사비 인건비 전기세 수도 유류 원자재비용이 들어가고

    김밥 만드는데 500원이 발생하면 1000원 2000원에 팔아야 하는데

    위와 같은 고정 지출비용이 높아질수록 가격에 포함을 시켜 소비자에게 판매를 합니다

    분식집을 예를 들면 아주머니 혼자하니까 인건비가 전혀 안들죠

    지금처럼 금리가 높아지면 점포비용이나 공사비같은 큰 비용을 대출을 받아 시작하니 그것도 악재가 됩니다

    인건비가 비싸면 파트타임시키거나 가족끼리 경영하면 된다지만 점포비용은 살인적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소득격차가 증가한다는 것은 소비여력이 많은 사람들이 많고

    프렌차이즈같은 자본이 많은 사람들이 주도적으로 가격을 올리죠 (교x치킨 2만원대이상)

    소비여력이 많은 사람은 치킨이 3만원이든 5만원이든 삽니다 (그러다 할인쿠폰 가끔씩 쏘고,.

    매출이 적으면 조금 내리고)

    판매자입장에서 저자본 자영업자는 어려울때 가격을 낮춰 매출을 올리려다 망하지만

    돈이 많은 대기업 프렌차이즈기업은 살아남죠 적게 팔아도 이윤을 높게 해놨으니

    이것도 빈부격차에 따른 물가상승의 원인으로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밀집도가 높고 많은 상업시설이 다른나라에 비해 많아서 높습니다. 다만 홍콩,뉴욕,도쿄보다는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아무래도 몇몇 품목에서는

    비싸다고 볼 수 있고 아무래도 재배 경작지 등이 부족하여

    채소 등이 비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아무래도 중간 유통 과정으로 인하여 비쌀 수 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 경제는 유통에서 금액이 뻥튀기되기때문입니다. 기업끼리 가격 담합도 하구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 부분은 우리 나라 만의 문제가 아니아 전 세계 적인 문제인데 현재 우리 나라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3.5-3.7% 정도로 예상 하고 있습니다. IMF는 2023년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9%, 경제 성장률을 1.0%로 예측한다고 합니다. 물론 중국의 물가 상승률은 2.2-2.5% 정도 이니 우리 나라 물가가 중국 보다는 비싸고 미국 보다는 싸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물가가 상당히 높은 나라 중 하나인데, 생산원가가 비싸고 또 유통구조의 문제로 인해 물가가 비싼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생산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거나 인건비, 재료비 등이 높은 수준이고, 많은 유통단계를 거치면서 실제 소비자가 구매하는 물건이 비싸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도시별 물가조사에서 서울이 9위를 했는데요, 주요 원인은 임대료 상승이라고 합니다.

    가장 물가가 비싼 대도시는 뉴욕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물가는 소득, 임금, 무역수지, 환율, 금리 등 복합적인 이유로 나타나기 때문에, 개선하는데 여러가지 정부 정책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물가는 환율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큰데 다른 선진국들의 경우에는 식량이나 다른 원자재들을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다 보니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더 높은 물가 수준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서울 물가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비싼 이유는 인구밀집도에 있습니다.

    서울의 인구밀도는 미국 뉴욕의 8배, 도쿄의 3배입니다. 좁은 지역에 사람들이 모여 살다 보니 수요가 증가하게 되며 이는 자연스레 물가 상승을 초래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