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세심한테리어2
세심한테리어2

고기압은 비오는경우가 없는데 저기압만오면 비와바람이 동반되는이유?

고기압은 주변에 비해 기압이 높다는의미고 저기압은 주변에 비해 기압이 낮다는의미가 아닌가요 ? 단순 기압차의 문제인거같은데 고기압에 비해 저기압이 올때마다 비구름과 바람을 몰고 오더라구요. 더군다나 저기압이 낮을수록 더 강하구요. 어떤이유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저기압은 주변보다 기압이 낮은 곳입니다. 따라서 주변으로부터 공기가 모여듭니다. 모인 공기는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동안 단열팽창하는 과정에서 응결이 일어나 구름이 형성됩니다. 구름이 형성되면 구름 방울끼리의 충돌에 의해 더 커진 빗방울이 만들어져 비가 내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고기압은 반대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곳이므로 중심부에는 하강기류가 존재합니다. 공기가 하강하는 동안 단열압축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습도는 낮아지므로 구름은 사라지고 맑은 날씨가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