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발한메추라기알192
활발한메추라기알19223.05.19

우리 나라는 언제부터 돈을 사용하였나요?

현대 사회에서 돈은 물건을 살 때 거래를 하는 수단으로 없어서는 안될 정도로 경제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돈을 최초로 사용하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9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 시대에는 금속 화폐가 나오기 전까지 쌀, 베, 곡물 등의 물품 화폐를 사용했습니다. 고려 시대에는 상업이 크게 발달하여 금속 화폐가 유통됐는데, 우리나라 최초의 동전인 해동통보가 이 때 만들어졌어요. 그 전에는 화폐인지 물병인지 구별이 안 되는 재미난 모양의 은병이 만들어졌는데, 워낙 고액인지라 일반 백성은 구경도 못해 봤다고합니다. 조선 전기에는 농업을 중시하고 상업을 천시하는 분위기 때문에 잠시 화폐가 유통이 되지 않고 쌀과 베 등의 물품 화폐가 다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개항 이후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서양 주화의 형태를 모방한 대동은전과 당오전 등을 발행했어요. 이후의 근대 화폐로는 신식 화폐 조례 제정으로 만들어진 은화와 조선 은행에서 발행한 지폐 등이 있습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화폐의 기능과 역사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화폐의 역사

    ① 고대의 교환수단

    약2000년전 기자조선(箕子朝鮮) 흥평왕(興平王) 9년(B.C.957)의 자모전(字母錢) 사용에 관한 기록이 우리나라 화폐사상 최고 기록이다. 이외도 해동역사(海東繹史)에 따르면 B.C.169년경 마한(馬韓)의 동전(銅錢), 진한(辰韓) 철전(鐵錢), 동옥저(東沃沮)의 금은무문전(金銀無文錢)이 사용되었다고 하나 근대에 와서는 고증이 어렵다. 화폐이전의 교환매체로 유통된 것은 곡물(穀物), 포백(布帛), 피혁(皮革),농기구(農器具)등 생활필수품이 주종이고 차츰 인문(人文)이 발전됨에 따라 유통가치를 가진 화폐제조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② 중국의 포전과 도전(中國의 布錢과 刀錢)

    물품화폐에서 진화된 중국의 포전과 도전이 우리나라 고려 고분에서 가끔 출토되고 있는데 이것은 물품화폐였던 농기구나 무기(칼)의 축소된 형태로 중국의 하(夏),은(殷),주(周),시대에 주조,사용된 것이다.

    1, 포전(布錢)의 종류

    1) 공수포(空首布) : 포전의 머리부분이 큰것(周代).

    2) 첨족포(尖足布) : 포전의 양쪽다리가 뽀족한 것(春秋時代),

    3) 방족포(方足布) : 포전의 양쪽 다리가 각이진것(春秋時代),

    4) 유이포(有耳布) : 포전의 머리부분의 양쪽이 튀어나와 마치귀가 달린것처럼 된것(春秋時 代),

    5) 방견포(方肩布) : 포전의 양쪽어깨 부분이 각이진것(春秋時代),

    6) 원견방족포(圓肩方足布) : 포전의 양쪽어깨부분은 둥글고 다리부분은 각이 진것(春秋時 代)

    7) 방견방족포(方肩方足布) : 포전의 양쪽 어깨 부분과 다리부분이 각이진것(春秋時代),

    8) 원족포(圓足布) : 포전의 다리부분과 어깨부분이 둥근것(春秋時代),

    9) 열국포(列國布) : 포전의 키가크며 다리가 긴것(春秋時代),

    2.도전(刀錢)의 종류

    1) 첨수도(尖首刀) : 도전의 칼날 끝부분이 뽀족한것(春秋時代),

    2) 원수도(圓首刀) : 도전의 칼날 머리부분이 둥근것(春秋時代),

    3) 방수도(方首刀) : 도전의 칼날 머리부분이 각이진것(春秋時代),

    4) 반수도(反首刀) : 도전의 칼날 머리부분의 끝이 뱫으며 마치 "反"자의 윗모양과 비슷한 것(春秋時代),

    ③ 중국전(中國錢)의 류입(流入)과 류통(流通)

    중국과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의 고분 등에서 출토되는 중국전에는 포전과 도전에서 청조전(淸朝錢) 고려에 이르기까지 수량과 종류가 다양하다. 당(唐)나라 무덕(武德)4년(621)에 주조 발행된 개원통보(開元通寶)와 건원(乾元) 2년(758)에 주조 발행된 건원중보(乾元重寶)는 당나라와의 거래가 빈번 하여짐에 따라 유입량이 증가되어 이을 모방한 고려전 개원통보와 건원중보가 나오게 되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편찬된 동국사략과 해동역사에는 기원전 957년 기자조선 흥평왕 때 우리나라 최초의 화폐인 자모전이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록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는 기원전 957년에 기자조선에서 자모전이 사용되었고, 기원전 109년에 마한에서 동전이 처음으로 주조되었으며, 동옥저에서는 금은무문전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삼국시대까지는 금속으로 만든 주화보다는 쌀과 베를 중심으로 한 물품화폐가 더 널리 쓰였다.

    -출처:성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