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클래식한나방128
클래식한나방12823.07.04

편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아이가 다섯살이 되었는데 좋아하는 것만 먹으려고 합니다 그래도 조금씩은 식단을 바꿔주고 싶은데 혹시 아이가 편식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편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는

    첫째, 편식을 하면 안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둘째, 음식을 골고루 먹어야 되는 이유와 편식을 하면 우리 몸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점에 대해서 알려주도록 하세요.

    셋째, 함께 요리활동을 하면서 음식의 소중함을 알 수 있도록 해주세요.

    넷째, 아이가 싫어하는 채소와 야채를 활용해서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서 제공해 주도록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영유아기 때는 혀의 맛봉오리가 어른들에 비해 많아서 맛에 더 예민하게 마련입니다. 따라서 억지로 먹이시기 보다 여러 맛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좋은데요, 우선 야채나 여러 식재료들을 잘게 다져서 볶음밥을 만들어 주시거나 고기와 섞어 함박 스테이크 등을 만들어주시기 바랍니다. 또 아이와 함께 재료를 손질하고 요리를 같이 하시면 아이도 재료에 관심을 가지고 본인이 만든 요리를 맛보는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잘 안 먹는 재료를 이용하여 볶음밥을 만든다거나 동그랑땡을 만들어 주시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또한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 모양으로 식판을 꾸며 주시는 것도 도움이 되지요. 편식은 조금씩 나아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식재료를 직접 수확해보는 농장체험이나

    직접 요리를 해보는 것이 편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해당 과정을 통해 재미와 성취감을 느끼면 책임감을 갖고 음식을 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직접 요리를 만들어보는것도 도움이될수있습니다

    자신이 만든것이 있다면 흥미를 가지고 먹을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편식이 심하다면, 아이와 요리를 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다양한 음식 재료들을 탐색하며, 요리하면서 성취감도 느낄 수 있으며, 요리 재료들과 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편식을 하지 않으면 아이에게

    선물도 주고 좋아하는 반찬을 해주고

    이런 방법으로 도와주시길 바래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이 아이들 앞에서 골고루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여 주셔야 합니다 .

    그리고 올바른 식습관에 관련된 동화책을 자주 읽어 주는 것도 편식을 예방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편식을 하는 경우 음식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할 수 있습니다.

    이경우 싫어하는 음식에 대한 조리법을 달리 해보시고 아이와

    함께 음식을 조리해보는 시간을 가지신다면 음식 및 재료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 편식을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편식을 줄이는 방법으로는 싫어하는음식을 억지로 먹이지 말고 음식에 익숙해 지도록 식사준비에 참여 시키면 좋을듯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04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편식을 줄이기 위해서는 아이가 편식을 하는 음식을 이용해서 함께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해주시고 칭찬 스티커 등으로 동기를 유발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편식을 하지 않으면

    칭찬스티커를 주는 등 이에 따른 동기부여를

    심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