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트럼프는 관세로 무엇을 하려하나요?

한국 중국 유럽들 다 관세 먹이고 있는데 이런 관세 전쟁을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단순히 힘을 과시하고 싶어서 일까요? 다같이 잘되면 좋은데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관세 전쟁은 단순한 힘의 과시라기보다는, 자국의 산업 보호와 무역 적자 개선이라는 경제적 목표에서 출발합니다. 특히 미국은 제조업 쇠퇴와 무역수지 적자를 문제 삼으며, 자국 일자리 회복과 경제 자립을 내세워 고율 관세를 통해 수입을 줄이고 자국 내 생산을 늘리려는 의도를 갖고 있습니다. 여기에 정치적인 목적, 예를 들어 국내 여론 결집이나 강한 리더십 이미지 구축도 포함되면서, 관세는 단순한 경제정책을 넘어 전략 무기로 사용되고 있는 셈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이렇게 서로 관세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고,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며, 기업 투자까지 위축돼 결국 모두가 피해를 입는 상황이 반복됩니다. 말씀처럼 다 같이 협력해 성장하면 좋겠지만, 국가 간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단기적 이익을 우선시한 강경 정책이 앞서는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현재 미국은 이미 경제적으로 중국과 전쟁을 하고 있기에 이러한 부분에서 영향을 받은 것도 있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각국이 서로에게 관세를 부과하는 이유는 단순한 힘 과시보다는 자국 경제를 보호하고 정치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적 목적이 큽니다. 특정 산업을 보호하거나 자국 내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관세를 활용하기도 하고,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거나 상대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국제 정세나 정치적 갈등이 무역 정책에 반영되면서 관세가 압박 도구로 활용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미국 제조업 재건과 국가 부채 해소를 명분으로 내세우며, 주로 동맹국을 포함한 다국적 무역 장벽을 공략하는 전략을 추구합니다. 자동차철강 등 주요 수출품목에 25% 관세를 부과해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 유도를 압박하고, 관세 수입으로 감세 정책의 재정적 토대를 마련하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산업을 '기술 유출로 규정하며 국내 생산기지 확충을 요구하는 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유도하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관세 전쟁은 국내 정치적 지지 기반인 백인 중하층의 경제적 불만을 달래기 위한 측면도 강합니다. 세계화로 인한 일자리 감소를 겪은 이들을 위해 '미국 우선 정책을 강조하며, 무역 상대국에 대한 압박을 협상 수단 이상의 목적으로 활용합니다. 다만 관세 부과로 인한 물가 상승과 소비자 부담 증가는 미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장기적 효과보다는 단기적 정치적 성과에 초점을 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트럼프는 멕시코, 캐나다 등에 대한 관세부과 정책 등은 물론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등 여러가지 관세정책 그리고 오늘은 전세계 국가들에 대한 상호관세에 대한 발표를 했습니다.

    트럼트 대통령의 관세전략은 미국내 세수 확보, 무역수지 개선, 미국내 투자 유치 등의 목적으로 부과하는 것으로 보이며, 관세를 협상카드로 사용하여 미국이 더 유리한 입지를 다지기 위한 전략적 카드로도 활용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