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2.08

경제용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용어 환리스크에 대해 궁금합니다

환리스크란 어떤 의미이며 어떤 위험을 말하는 지 알고 싶습니다. 독학으로는 너무 어려워서 전문가님들에게 질문 드려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두이랑88
    두이랑88
    23.02.08

    안녕하세요. 임병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환율 변동 위험을 말하는 겁니다.

    글로벌 경제에서 결제 등에 사용되는 기축통화가 미국 달러화인데요.

    기축통화란 의미는 국제거래에서 원화 등 자국통화로 결제를 못하고 미 달러화로 결제를 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미 달러외에 유로화, 엔화, 파운도화 등도 기축통화에 속하나 달러화하고는 파워가 비교가 안되죠.


    환리스크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홍길동은 미국에서 1달러짜리 펜을 수입해서 팝니다.

    현재 $1=₩1000환율에 펜 10자루를 수입하려고 10,000원을 준비했습니다.

    그런데, 자고 일어나니 환율이 급상승해 $1=1500원이 되어서 15,000원의 돈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5,000원을 가만히 앉아서 손해본 셈이죠.

    이해를 돕기위해 극단적인 환율변동으로 예를 들었습니다.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글쓴이께서 미국 여행을 계획 중이라고 생각해보세요. 환율이 급등하면 동일액의 달러로 환전하기 위해서 더 많은 원화가 필요하겠죠.


    기업들은 이런 환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서 환헷지를 합니다. 환헷지란, 환율을 일정가격에 고정시켜서 환율변동 위험을 회피하는 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로 손해를 보는 경우를 얘기합니다. 예를 들어서 미국 바이어와 100달러짜리 수출계약을 맺었는데, 그 당시 1달라 당 1400원이었는데 대금을 받을 당시 1달라당 1200원이면, 물건을 파는 사람 입장에서는 달러당 200원의 손해를 보는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점은 은행 외환선물 계약이나, 무보 상품 등으로 피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리스크라는 것은 투자상품이 환율변동에 인한 자산 가치 변동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를 뜻 합니다.

    예를 들어서 한국 국민이 미국주식에 직접 투자를 한 경우에는 해당 기업의 주가 변동 외에 원/달러 환율로 인한 수익 변동의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100만원치 주식을 샀다고 가정하고, 10%의 주가 상승이 발생하였으나, 15%의 원달러 하락으로 인한 환손실이 발생하면, 전체적으로는 5%의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