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6.29

세종이 한글을 발표했을 당시 양반들은 한글을 무시해 있나요

지금 현재 한글은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문자가 되었는데요 하지만 한글도 우여곡절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세종이 한글을 발표 하였을 당시에 양반 상류층들은 한글을 무시 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한글은 세종대왕이 1443년에 창제하여 발표했습니다. 당시 양반 상류층들은 한문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으며, 한글을 비하하며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한글은 일상 생활에서의 편리함으로 인해 일반 백성층들에게는 빠르게 퍼져나갔습니다.

    한글의 인기는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상류층들에게도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19세기 말부터는 양반들도 한글을 배우고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일부 양반들은 한글을 사용하여 문학작품을 창작하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한글이 한국의 공식 언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글로벌 IT 기업들도 한글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글은 국민의 삶에서 빠져나갈 수 없는 중요한 문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종이 한글 을 창제 당시에 양반들은 그들만의 기득권을 잃을 까봐 한글을 무시 하고 베우지 않았고 오직 아녀자들을 위한 언문 이라고 생각 했습니다. 그래서 조선 초에 발명된 한글이 조선 후기에 서야 비로소 한글로된 문학 작품들이 나오기 시작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글 창제 이후 구한말 까지 양반 식자층에서 한글을 얕잡아 보는 분위기가 있었습니다.

    한글로 쓰인 문장은 속된 것이며 낮은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는데, 이는 한글이 문제였다기 보다 한국어로 된 문장을 격이 낮고 속되다고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