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09

메탄의 특성이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과정

메탄은 대표적으로 지구온난화를 가속화시키는 요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 메탄은 어떤 원리와 과정으로 지구온난화를 형성하는 건가요?


이산화탄소의 경우, 이산화탄소가 지구 대기층을 채우면 태양의 복사열이 빠져나가지 못한다. 이런 예시로요


여러가지 자료 개인적으로 찾아봐도

~과정에서 메탄이 발생하고 그 메탄이 지구 온난화를 촉진시킨다.

이런식의 내용밖에 없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22.09.10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빛과 분자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독특한 상호 작용 때문입니다.

    질소나 산소분자들의 경우에는 각 원자들이 하나의 가지로 연결되어있어 에너지를 많이 축적하지 못하는 대칭적 구조를 가집니다.
    이산화 탄소 분자는 탄소원자가 가운데 있고 산소원자가 양 옆에 있으므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가지가 두개가있습니다.
    즉, 한쪽 가지가 진동할때 다른쪽 가지는 진동할 수 없는 상황에서 비대칭적인 구조를 가집니다.
    이럴 때 이 분자는 에너지를 축적하게됩니다.

    메탄은 탄소원자가 가운데 있고, 수소원자가 4방향에 정 사면체형태로 위치합니다. 즉, 이산화탄소보다 더욱심한 비대칭의 모습을 가집니다.
    때문에, 메탄분자하나가 이산화탄소분자하나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으므로, 더 치명적인 온실가스가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온난화는 메탄과 이산화탄소 등 기체로인해 발생합니다.

    먼저 온도라는 개념을 이해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온도라는것은 정확한 개념은 입자, 분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입니다. 기체, 액체, 고체는 분자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 분자들이 얼마나 활발하게 움직이는지가 온도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메탄과 이산화탄소는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활발하게 진동하거나 운동을 합니다. 즉, 온도가 높은 상태가 되는것이죠. 그래서 외부에서 열이 들어오면 들어올수록 운동, 진동이 활발해지며 온도가 올라가는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메탄과 이산화탄소가 태양의 복사열을 빠져나가지 못한다고 되어있는데,

    그것은 해당 기체의 고유 특성입니다.

    메탄이 이산화탄소보다 80배 이상 더 악영향을 미칠 뿐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들어가자면 메탄의 분자 구조가 적외선을 흡수하고 잘 방출되지 않는 구조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