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위험군으로 나왔어요 거의 130/80 정도에요
고혈압은 합병증은 무엇이며 실제로 본인이 아픈걸 인지할수가 없는데 스스로 알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며 언제부터 약물 치료를 고려해야하는지 궁금하여
안녕하세요. 김윤지 의사입니다.
고혈압은 대부분 증상이 없어 본인이 아픈 것을 느끼기 어렵지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뇌졸중, 심근경색, 심부전, 만성 신부전, 시력 저하 등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없더라도 혈압을 꾸준히 측정하며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약물 치료 시점은 혈압 수치뿐 아니라 당뇨,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등 동반 질환을 고려해서 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혈압이 140/90mmHg 이상이면 치료를 권고하며, 만약 당뇨병 등 고위험군에는 130/80mmHg 이상부터 약물 치료를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그 전에는 생활습관 개선이 매우 중요합니다. 짠 음식 줄이기, 체중 조절, 규칙적인 운동, 금연과 절주, 스트레스 관리 등이 효과적입니다. 이런 노력을 통해 혈압을 낮추고 심혈관 질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증상이 없어도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생활습관을 개선하며, 전문의와 상담해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고혈압 관리의 핵심입니다. 항상 꾸준히 관리하시길 권유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래 내과 전문의입니다.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지속적인 혈압 상승은 혈관 손상을 유발하여 뇌졸중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뇌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것이 가장 주요한 합병증입니다. 현재 혈압이 130/80 정도 나온다면 고혈압 전단계로 판단할 수 있으며 현재 정확한 혈압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가정 혈압 측정이 필요합니다. 하루 2회 아침 저녁으로 1주일 간 안정시 혈압을
측정해 보시고 가정 혈압의 평균이 135/85 이상이라면 고혈압으로 진단 가능하며 약물 치료가 필요한 상태로 판단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오랜 기간 혈관 내 압력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모든 장기에서 손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고혈압의 합병증으로 인해 뇌졸중, 심장병, 신부전, 망막 손상, 말초혈관질환의 발생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평소 짠 음식의 섭취를 피하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며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가정 혈압을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수축기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90mmHg 이상 지속될 경우 약물 치료 상담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