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레이 씨티 피폭량 질문드립니다.
2022.10.초 뇌 비조영제 ct
2022.10.말 복부 조영제 ct 를 찍고
2023.년에는 평소 신경 근육통이 심해 두 마취통증의학과에서 경추, 흉추 엑스레이 7장씩 총 14장을 찍었습니다.
2024.5에도 같은 질환으로 3곳의 마취통증의학과 정형외과에서 거의 25장의 흉추, 경추 엑스레이를 찍었습니다
그러다가 최근 가래가 많아져서 호흡기내과를 방문했는데요, 거기서도 흉추 엑스레이를 5번찍고 저선량 흉부 ct도 찍게 되었습니다. 너무 걱정되서 문의드립니다.
피폭량이 유의미하게 많은건가요?
총 피폭량이 얼마인가요?
흉부 엑스레이 피폭량이 0.1밀리시버트인가요? 0.03-0.05밀리시버트인가요?
일단,, x ray는 거의 의미없다고 생각됩니다. X ray를 하루에 100장 찍어도 CT 한번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저선량 CT는 일반 CT의 20% 정도 방사선량으로 너무 걱정안해도 됩니다.
즉,, 방사선 노출 걱정할정도로 많지는 않은것 같네요
뇌 비조영제 CT: 대략 2 밀리시버트(mSv)
복부 조영제 CT: 대략 10 밀리시버트(mSv)
흉추 및 경추 X-ray: 일반적으로 한 장당 0.1 밀리시버트(mSv)
저선량 흉부 CT: 약 1 밀리시버트(mSv)
각 검사들의 피폭량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2022년 10월 뇌 비조영제 CT: 2 mSv
2022년 10월 말 복부 조영제 CT: 10 mSv
2023년 경추, 흉추 X-ray (14장): 14 x 0.1 mSv = 1.4 mSv
2024년 5월 경추, 흉추 X-ray (25장): 25 x 0.1 mSv = 2.5 mSv
최근 흉추 X-ray (5장): 5 x 0.1 mSv = 0.5 mSv
최근 저선량 흉부 CT: 1 mS
총 피폭량을 계산하면: 2 + 10 + 1.4 + 2.5 + 0.5 + 1 = 17.4 mSv
흉부 X-ray의 피폭량에 대한 질문도 답변해드리면, 흉부 X-ray 한 장당 피폭량은 일반적으로 0.03에서 0.05 mSv 사이로, 몸의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여기서 사용한 0.1 mSv는 보수적인 값으로, 실제로는 그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연간 일반인이 자연적으로 받는 방사선 피폭량은 약 2.4 mSv로, 지금까지 받으신 총 피폭량이 이보다 높긴 하지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한 번의 대량 피폭보다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누적 피폭에서 더 중요합니다. 따라서 현재의 피폭량은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