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머쓱한호박벌232
머쓱한호박벌23223.03.03

음파중에 사람이 들을수 있는 주파수는 얼마인지요?

물체의 진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리 중에 우리가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는 얼마인지요? 그리고 그 범위를 벗어나면 왜 사람은 듣지를 못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범위는 보통 20Hz부터 20,000Hz까지입니다. 이 범위를 가청주파수라고 합니다.

    주파수란 파동이 발생하는 주기적인 변화를 말합니다. 소리의 주파수는 단위 시간당 진동수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높은 주파수의 소리는 초당 더 많은 진동수를 가지며, 낮은 주파수의 소리는 초당 적은 진동수를 가집니다.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범위를 넘어서면 듣지 못하게 됩니다. 이는 인간의 귀가 일정한 범위의 주파수에만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귀에서 소리를 인지하는 부분인 쉬운 고리에는 진동수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는 세포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세포들이 가진 미세 구조가 특정 주파수의 소리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이 범위를 벗어난 소리는 귀에서 처리되지 않습니다.

    주파수가 높은 소리는 진동수가 많아 인간의 귀가 인지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주파수가 낮은 소리는 파장이 길어지므로 멀리까지 전파됩니다. 따라서, 초음파와 저음파는 인간의 귀가 들을 수 없는 범위에 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범위는 보통 20Hz에서 20,000Hz(20kHz) 정도입니다. 하지만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연령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고주파수를 인식하는 능력이 떨어지는데, 이는 내부 이명 등의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청세포는 약 20000헤르츠 범위내의 소리만을 들을 수 있습니다.


    해당 주파수위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청세포가 없기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범위는 나이와 청력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평균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사람은 약 20 Hz ~ 20,000 Hz (20 kHz)의 주파수로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고주파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은 특히 30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 50대나 60대가 될 때쯤에는 보통 12kHz 또는 14kHz까지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16Hz-20kHz가 사람이 인지할수 있는 범위입니다


    이 범위 외에는 사람이 듣기 힘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