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이지로운블루밍618
이지로운블루밍618

소통이 아이와 잘되려면 부모는 어떤점들을 알아두면 좋을까요?

아이가 조금씩 성장해갈수록 대화와 교류가 줄어들고 자연스럽게 소통도 줄어들게 됩니다. 저 또한 어린 시절 그랬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아이와 활발히 소통해나가려면 어떤점들을 알아두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소통이 원활하게 되기 위해서는 대화가 충분히 이루어지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와 대화를 하기에 앞서 아이의 기분을 살피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읽어 주는 것이 먼저 이구요,

    아이와 대화를 시작했다면 아이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주고,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면서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봐주고 아이의 감정을 케치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이야기가 끝났다면 아이의 이야기의 충분히 공감을 한 후에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1. 아이와 활발히 소통하기 위해서는 평소에도 자주 가족끼리 일정한 시간(가족 회의, 식사 시간, 주말에 놀러다니기 등)을 가지는 것이 좋으며,

    2. 긍정적인 격려와 칭찬, 그리고 피드백을 사용하여 아이도 부정적인 감정을 갖지 않고 편하게 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겠습니다.

    3. 특히 아이가 자라면서 아이와 충돌하는 지점(공부, 스마트폰 사용 등)이 생길 겁니다. 물론 아이가 하고 싶은 대로 모두 다 허용할 수는 없으나, 이 과정에서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그리고 일관적인 지도를 통해서 신뢰와 유대감을 기반으로 대화를 이어가는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와의 소통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아이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생각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질문을 해보세요.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일상 생활 에서 다양한 주제로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나 학원에서의 일, 취미나 관심사 등을 주제로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충분한 시간을 보내고, 서로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킨쉽을 통해 아이와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긍정적인 태도로 대하면 아이도 긍정적인 사고를 갖게 되고, 소통에도 도움이 됩니다.
    부모님이 올바른 행동을 보여주면 아이도 이를 보고 배우게 됩니다. 따라서 부모님 스스로도 올바른 행동을 하고, 아이에게 모범을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식사, 수면, 운동 등을 유지하면 아이의 건강에도 좋고, 소통에도 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자기 존중감이 높아지면 타인과의 소통에서도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도움이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말할 때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규칙과 기대를 일관되게 유지하여 아이가 혼란스럽지 않도록 합니다.

    아이의 긍정적인 행동에 대해 적극적으로 칭찬하고 격려하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성장하게 되면서 독립성이 강해 지게 됩니다

    어릴적 아이들이 엄마에게 모든 걸 이야기 하고 불편함을 해결 해 달라고 할때를 생각해보면

    이제는 독립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다 보니 엄마를 찾는 경우가 줄어 듭니다

    그래서 엄마들은 자녀에 대한 섭섭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가 건강하게 잘 자라고 있다는 증거 이니 너무 섭섭하게 생각 하지 마세요

    아이들이 더욱 더 자라면서 엄마의 필요성이 더 줄어 들게 됩니다

    연예사 문제나 진료 문제가 엄마나 아빠보다 친한 형이나 친구들과 소통이 더 편할 수도 있습니다

    부모님들은 또래 아이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행동 하는지 직접 함께 하지 않으면 알기 어렵기 때문에

    같은 처지에 있는 친구나 선배에게 더 의견을 나눌 수도 있어요

    아이와 소통하기 위해서는 부모님의 의견보다 아이의 의견에 경청하고 공감하며 이해를 해줄 수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부모님은 오랜 경험 때문에 아이의 의견보다 부모님의 의견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 하기 때문에

    아이들과 대화가 막히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열린 질문을 통해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강압적이거나 지시적인 말보다는 긍정적이고 부드러운 표현을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 소통이 잘되기 위해 부모는 아이가 이야기할 때 중간에 끊지 말고 끝까지 들어주며 그들의 감정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야 합니다. 비판보다는 공감과 이해를 바탕으로 대화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점점 아이와 소통이 힘들어지고 어려워지는 순간들이 늘어나게 됩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것은 자녀가 말할 때 온전히 귀를 기울이고 관심을 보이는 것입니다. 자녀의 말을 끊지 않고 끝까지 들어주며, 눈을 맞추고 고개를 끄덕이는 등 경청하고 있음을 적극적으로 나타냅니다. 두번째로, 비난이나 편견따위 없이 자녀의 감정과 생각을 존중해주려 노력해보세요. 간혹 부모님들은 먼저 판단하고 아이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셋째는, "오늘 학교에서는 어땠어?" 처럼 개방형 질문을 통해 아이가 더 많이 열린 이야기할 수 있도록 대화를 이끌어나갑니다. 간단한 '예', '아니요'와 같은 단답형 질문은 지양해주세요.

    넷째는, 아이가 잘한 일에 대해서는 항상 칭찬해주시고 감정 공유를 잘해주세요. 긍정적인 피드백은 자녀의 자존감을 높여주고 더 열린 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자녀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마지막으로, 아이를 격려해주시고 아이가 가지고있는 감정에 공감해 주세요. "너무 화났겠다" 또는 "네가 슬픈거 이해해"와 같은 표현으로 자녀의 감정을 공감해주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