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총명한쌍봉낙타255
총명한쌍봉낙타255

반대로 말하는 아이 왜 그런가요?

우리 아들이 요즘 반대로 이야기합니다. 더울 때 노가버린다고 하고 짱구처럼 반대로 이야기합니다. 아이의 심리가 무엇일까요. 반대로 하는 아이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반대로 말하는 것은 놀이의 일종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랍니다.

      상대방이 재미있어 하고, 관심있어 하니까 반대로 말을 하는 것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영유아 자아발달로 알아보는 '싫어병'과 '아니야병'

      이런 '싫어병'과 '아니야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영유아 자아 발달의 특징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릴게요.

      첫째, 자기식별 및 자아개념 형성

      영유아는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자신의 이름과 외모를 인식하기 시작하는데요. 자신에 대해 이해하고 정체성의 개념이 형성돼요.

      둘째, 자기 보호와 자기주장

      영유아는 자신의 욕구와 의견을 표현하려고 노력하며, 스스로를 보호하려고 해요. 흔히 "나도 해볼게"나 "내가 할래"와 같은 표현을 통해 나타나요.

      셋째, 감정 표현과 관리능력

      영유아는 주변 사람들의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며, 감정을 표현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데요. 분노, 기쁨, 슬픔 등을 표현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배우려고 한답니다.

      '싫어병' 고치는 꿀팁

      첫째, 자녀의 마음을 인정해 주세요.

      10시가 되어 자야 하는데 "싫어, 안 자. 책 읽을 거야" 하는 경우 어떻게 말해주면 좋을까요?

      "10시가 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자야 해. 내일 보자."보다는

      "자고 싶지 않은데 자야 하니 속상하지?" 하고 안아주시면 어떨까요?

      또는, 자녀의 마음을 알기가 어려울 때는

      "마음이 속상하구나. 엄마도 너의 마음을 이해하고 싶은데 자꾸 싫다고 하니,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잘 모르겠어. 차근차근 이야기해 주면 엄마가 도울 수 있을 것 같아"

      "엄마가 네 마음을 빨리 알아채지 못하니 답답하지?" 등의 말로 감정을 먼저 살펴주세요.

      감정이 존중되면 소통하기가 쉬워진답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자녀와 부모의의 갈등이 생기면서 승-승의 관계가 아닌 패-패의 관계가 될 수 있음을 기억하세요.

      둘째, "아니야"에 대한 이유를 찾아보세요.

      아이와 대화하며 의견을 묻고, 왜 "아니야"라고 이야기하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다른 방법으로 생각 해보자" 또는 "왜 이렇게 생각하나요?"와 같은 대화를 한 후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설명해 주세요.

      셋째, 아이가 주도적으로 선택할 기회를 주세요.

      아이에게 작은 것부터 스스로 선택할 기회를 주세요. 예를 들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선생님 놀이를 해도 좋고요. 산책하러 갈 장소를 정하거나, 식탁 차리는 것을 도와 달라고 하는 등 본인이 맡은 역할에 충족감을 경험할 수 있게 해주세요.

      아이마다 발달하는 데 개인차가 있어 육아의 정답은 없지만 '싫어병'을 성장과 학습의 과정이라 생각하시고 의사소통과 자기조절 능력을 키우는 생활 습관을 함께 개발해 주시면 좋아요. 부모의 노력은 자녀에게 "엄마가 자신을 존중하고 도와주려고 하고 있구나"라고 느끼게 해준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대로 말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은 부모가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그렇답니다

      되도록 아이의 엉뚱한 말에 반응을 보여 주지 않으면, 아이는 재미없는 말이라는 것을 알게되서 더 이상 그런 말들은 쓰지 않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청개구리처럼 행동을 하는 아이 심리는 아이가 하고 싶어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기 싫어도 해야만 하는 이유는 아이 눈높이에 맞게 설명을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강제로 억지로 시키기보다는 좀 더 유연하게 대처하여 아이와의 실랑이를 줄여 나가보는 것에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아이의 생각을 들어보고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는 방법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항심으로그럴수도있고부모와말장난하는것에 재미가있어서그럴수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단순히 재미있어서 그럴수있습니다

      아이에게 크게 반응을 해주지 않으면 흥미를 잃어서 다시금 괜찮아질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