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30

6.25 전쟁에서 인천상륙작전은 구체적으로 어떤 작전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인천상륙작전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된 사건이었나요?


단순히 인천에서 승리했다 이런게 아니라


작전의 스토리 전개과정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50년 9월 15일, 더글러스 맥아더의 지휘 아래 조선인민군이 점령하고 있던 인천에서 유엔군과 대한민국 국군이 펼친 상륙작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스탈린그라드 전투, 미드웨이 해전과 비슷한 비중을 가지고 있다. 미군은 이 전쟁에 참전한 초기에 조선인민군에게 연패하며 경상도까지 밀려 내려오다가 결국 한반도의 허리 부분을 장악한 이 작전이 대성공을 거두면서 전황이 뒤바뀌게 된다.

    북한에서는 인천상륙작전이 잘 언급되지 않으며, 상륙작전으로 일어난 전투의 일부인 "월미도 방어전투"라는 표현만 자주 사용한다. 월미도 전투에 대한 기념행사도 한다.

    코드네임은 크로마이트 작전(Operation Chromite)으로, 보안 유지에 특히 신경쓰고자 작전과 아무런 연관이 없는 단어들 중 크롬 광석에서 따와 지었다. 작전 후에는 Battle of Inchon(인천 전투)으로 불리고 있다. 인천시의 현용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인 Incheon이 아니라 영미권에서 주도적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인 Inch'ŏn에 기반한 Inchon을 사용했다.

    출처: 나무위키 인천상륙작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합동전략기획단은 인천, 군산, 해주, 진남포, 원산, 주문진 등 가능한 모든 해안지역을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었습니다. 결국 이들이 마련한 크로마이트(CHROMITE) 작전계획 초안이 7월 23일 완성되어 극동군사령부 관계자들에게 회람되었습니다.


    맥아더 사령관이 상륙작전을 계획하자 극동군사령부는 작전 100-B, 작전 100-C, 작전 100-D의 세 가지 안을 제출하였습니다. 작전 100-B는 서해안 중 인천에 상륙하는 것이고, 작전 100-C는 군산에, 그리고 작전 100-D는 동해안 주문진 근처에 상륙하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이 세 가지 작전에서 최종적으로 작전 100-B가 채택되었고, 잠정적인 D-Day는 9월 15일이었습니다.


    1950년 가을 인천 해안에서 상륙작전이 가능한 만조일은 9월 15일, 10월 11일, 11월 3일과 이 날짜를 포함한 전후 2~3일 뿐이었습니다. 10월은 기후관계상 상륙하기에 늦은 시기로서 가장 적절한 시기는 9월 15일로 결정되었습니다.


    맥아더는 상륙작전의 기본 계획을 확정한 후 상륙부대의 편성에 착수하였습니다. 그리고 8월 26일 상륙작전을 담당하게 될 제10군단을 공식적으로 편성하였습니다. 미 제10군단의 주요 부대는 미 제1해병사단과 미 제7보병사단이었습니다. 미 제7보병사단은 한국에 파병된 다른 부대에 많은 장교 및 기간요원들을 차출당하여 그 병력이 부족하자 한국청년 8,000여 명을 선발하여 일본에서 훈련시킨 후 배치시켰습니다. 이들이 바로 카투사(KATUSA)의 시초였습니다. 한편 국군으로서 인천상륙작전에 참가한 부대는 제1해병연대와 국군 제17연대였습니다.


    인천상륙작전에 대한 맥아더의 계획은 9월 9일 미 합동참모본부로부터 최종 승인되었습니다. 인천상륙에 앞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인천지역에 대한 수로, 해안조건, 방파제 및 북한군 상황에 대한 정보수집 문제였습니다. 따라서 첩보대를 파견하여 인천연안에 대한 각 섬들과 해안을 정찰하여 관련 정보를 확보하였습니다.


    당시 인천지역에는 월미도에 제226독립육전연대 소속의 400여 명과 제918해안포연대로 하여금 방어임무를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인천시에는 제87연대가 방어임무를 담당하고 있었습니다. 미 제10군단은 북한군의 인천 방어 병력을 약 1,000명으로 추산하고 있었습니다.


    인천상륙작전을 개시하기에 앞서 상륙부대는 양동작전을 전개하였습니다. 즉 9월 5일부터 북으로는 평양에서부터 남으로는 군산까지, 인천을 포함한 서해안의 상륙작전 가능지역에 폭격을 실시하였습니다. 9월 12일부터는 미국과 영국의 혼성 기습부대가 군산을 공격하고, 동해안 전대는 9월 14일과 15일 삼척 일대에 맹포격을 가하며 인천상륙작전이 시작되었습니다. 한편 9월 12일부터 관문인 월미도를 제압하기 위한 폭격이 시작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제7합동기동부대는 미 제7함대 세력을 주축으로 한 유엔군 261척의 함정과 미 제10군단 예하 한국군 2개 연대를 포함한 미군 2개 사단 등 총병력 7만여 명으로 구성된 지상군 부대를 통합 지휘하여 9월 15일 02:00에 인천에 대한 상륙작전을 개시하였습니다.


    상륙작전은 2단계로 전개되었습니다. 제1단계는 월미도 점령이었고, 제2단계는 인천 해안의 교두보 확보였습니다. 제1단계 작전에서는 미 해군이 함포사격을 가하는 동안 미 해병연대가 상륙하였습니다. 제2단계에서는 후속하는 부대들이 해안 교두보를 확보하여 인천시가지 작전을 전개해 나갔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23.05.30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50년 9월 15일, 더글라스 맥아더 지휘 아래 조선인민군이 점령하고 있던 인천에서 유엔군과 대한 민국 국군이 펼친 상륙 작전 입니다. 처음 생각한 곳은 군산시 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군산은 상륙조건 자체는 좋으나 북한군의 보급선을 하나도 끊지 못하며, 북한군 병력도 하나도 포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런 점 및 맥아더 장군 자신의 소신으로 인해 맥아더 장군은 혼자서 끊임없이 인천 상륙을 주장했다고 하지요. 참가부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제7합동기동부대 Joint Task Force SEVEN - 지휘관: 아서 듀이 스트러블 해군 중장

      • 미군

        • 혼성 제10군단 - 지휘관: 애드먼드 알몬드 육군 소장

        • 해병대 제1해병사단 - 지휘관: 올리버 스미스 , 중장

        • 육군 제7보병사단 - 지휘관: 데이비드 G. 바 육군 소장

      • 한국군

        • 해병대 제1연대- 지휘관: 신현준 해병 대령(미 제1해병사단 5연대에 배속)

        • 육군 제17연대 - 지휘관: 백인엽육군 대령(미 제7보병사단에 배속)

      • 영연방 연합군(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군) - 지휘관: 윌리엄 G. 앤드루스 해군 소장

      • 네덜란드군

      인천에 상륙한다고 해서 D-day(9월 15일)에 준비하고 있다가 그날 한번에 공격한 것이 아니라 인천상륙작전 이틀 전에는 인천~군산, 삼척, 마량도(함경남도) 등 주요 해안에서 대규모 폭격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교란 및 기만작전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적의 관심을 분산시키고 인천상륙에 방해가 될만한 주요 시설을 파괴했다고 합니다. 일종의 사전 정지 작업인데요. 인천은 9월 10일부터 미 해군과 공군을 동원하여 월미도를 비롯해서 인천지역에 대대적인 폭격을 가하고 뿐만 아니라 적의 판단을 흐리고 혼선을 주기 위해 인천에서 군산 사이의 해안선에 지속하여 포격을 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엔군사령관 더글라스 맥아더 원수가 6월 29일 한강방어선을 시찰할 때 “상륙작전으로 북한군의 후방을 차단해 전세를 역전시킨다”는 구상을 하였고 이에따라 구체적으로 7월 22일 미제1기병사단과 미 해병대 연대전투단(RCT) 병력을 인천에 상륙시킨다는 블루하츠 작전 (Operation Bluehearts)이 만들어졌으나 전황이 악화되고 미 본토에서의 상륙부대 배치가 늦어지면서 취소되었다.


    그후 대한민국 국군과 유엔군은 남쪽인 낙동강 방어선에서 힘겨운 방어전을 벌이고 있었는데 인천은 낙동강과 부산 교두보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조선인민군이 거의 방어를 하지 않고 있었다. 이곳에 기습 상륙 작전을 개시함으로써, 유엔군은 손쉽게 인천을 점령하여 서울까지 탈환했다. 이로써 조선인민군은 보급로를 차단 당하게 되었다.

    -출처:위키백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천상륙작전은 쉽게 생각해서 적진 한가운데를 단절시켜서 적의 보급로를 끊는 작전이었습니다.

    상륙작전에 경험이 많던 맥아더장군이 1950년 6월 전쟁상황을 판단 후 상륙작전을 결정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