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비범한애벌래228
비범한애벌래22822.10.25

등산하고 무릎이 좋지않습니다.

나이
4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하산할때 무리해서 디뎠는지 무릎 상태가 좋지 않네요

무릎에 파스를 붙여놓았는데 별 효과를 받지 못하겠어요

병원가서 X-레이를 찍어봐야 될지 고민스럽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근골격계 질환은 기본적으로 이학적 검사 및 영상의학 검사를 통해 구조물을 정확히 확인하여야 하므로 내원하시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계단 오르내리기 혹은 등산은 심혈관계에는 좋은 운동이지만 무릎에는 좋지 않은 운동입니다. 보통 계단을 오르내릴때 체중의 3.5배 부하를 받을 수 있어 이로 인해 연골이 닳아 퇴행성 관절염이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핸드레일을 잡고 오르내리시거나 무릎에 부하를 줄여주는 보호대, 충분한 충격 흡수를 할 수 있는 좋은 신발을 신으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5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무릎통증 때문에 고생하시는군요.

    무릎관절에 있는 여러가지 인대나 근육 등에 염좌가 생기면 일시적으로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운동을 하다가 충격이 있었다면 염좌일 가능성이 가장 많습니다. 하지만 관절가동범위에 제한이 생긴다든지, 통증이 지속되는데 지속적으로 운동을 한다면 관절에 손상이 갈 수 있으므로 쉬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염좌가 아니더라도 무릎을 많이 사용하면서 생기는 퇴행성 관절염도 만성적인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젊은 나이에서 잘 생기는 염증성 관절염 종류들도 많이 있으며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관절염, 베체트병, 루푸스 등등이 해당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무릎통증의 경우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를 사용하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좋아지며, 증상이 좋아진 상태에서 무리한 운동을 하지 않으면 서서히 회복됩니다.

    하지만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정형외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되셨나요?

    질문자님의 적극적인 답변 추천, 좋아요 그리고 채택은 저희 답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피드백이 됩니다. 도움이 되신 답변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해주셔서 앞으로 더 좋은 답변이 순환되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무릎의 염좌 등의 경우 얼음찜질, 소염진통제 등의 복용이 도움이 되시겠지만, 엑스레이상에는 특이 병변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증상이 지속될 경우는 정형외과에서 연골판 확인을 위해 mri를 체크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등산이나 계단을 내려올때 무릎 연골에 무리가 많이 가게 됩니다. 연골뿐만 아니라 주변 힘줄이나 인대의 염증, 손상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휴식을 하면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보시고 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정도에 따라서 물리 치료, 약물 치료, 체외 충격파, 주사 치료를 시행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주영 의사입니다.

    근육이나 관절과 같은 근골격계 통증엔 휴식이 가장 우선시 됩니다.

    몇일간 휴식 이후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정형외과 내원하셔서 진료 보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