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아이들은 친척 어른들을 부를 때 통일해서 부르나요?
아이들이 친가친척이나 외가친척을 부를 때
(친가외가, 나이 따로따로 부르기➡️통일해서 부르기)
1. 친할아버지, 외할아버지, 큰할아버지, 작은할아버지➡️할아버지
2. 친할머니, 외할머니, 큰할머니, 작은할머니➡️할머니
3. 삼촌, 큰삼촌, 작은 삼촌, 외삼촌, 큰외삼촌, 작은 외참촌➡️삼촌
4. 숙모, 큰숙모, 작은 숙모, 외숙모, 큰외숙모, 작은 외숙모➡️숙모
5. 고모, 큰고모, 작은 고모➡️고모
6. 고모부, 큰고모부, 작은 고모부➡️고모부
7. 이모, 큰이모, 작은 이모➡️이모
8. 이모부, 큰이모부, 작은 이모부➡️이모부
윗 글처럼 친가외가, 출생순서 상관없이 통일해서 부르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친가친척, 외가친척 조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의 형제자매를 ’할아버지’, ’할머니’라고 통일해서 부릅니다. 친가쪽에는 큰아버지의 남동생 삼촌 1명, 외가쪽에는 큰외삼촌과 작은 외삼촌으로 2명이어서 ‘삼촌‘이라고 통일해서 부릅니다. 친가쪽의 삼촌은 독신이고, 외가쪽에 2명의 외삼촌들은 결혼을 해서, 큰외삼촌의 아내인 큰외숙모, 작은 외삼촌의 아내인 작은 외숙모를 ‘외숙모’라고 통일해서 부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요듬은 아이들이 부르는 호칭을 간단하게 통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할이버지, 할머니, 삼촌, 숙모 식으로 친가, 외가 순서 구분없이 부르는 집이 늘고 있습니다. 부르기 편하고 자연스럽게 정리되기 때문이죠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친가.외가 에서 삼촌, 고모, 이모, 이숙, 고숙, 외숙모, 외숙부 등의 호칭은
구분없이 부르는 것 아니면 첫째 고모 둘째 고모 이런식의 구분을 둬서 부르는 것은
각 사람마다 개인적 성향에 따라 다르겠습니다만
아이에게 부르게 할 때는 통일해서 부르도록 하는 것이 좋을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요즘은 핵가족 시대라서 호칭을 중요 하게 생각 하지는 않습니다 사촌인데도 왕래가 없는 집안도 많이 있는 것
같아요
백부님(큰아버지) 백모님(큰어머니)나 숙부님(작은 아버지) 숙모님(작은어머니)는 자신의 아버지의 위치에 따라
불리게 됩니다
자신의 아버지가 장남 이라면 백부님은 없고 숙부님 숙모님만 있게 됩니다
자신의 아버지가 둘째 라면 자신의 아버지의 형은 백부님이 되고 자신의 아버지의 남동생 분들은 모두가 숙부님이
됩니다
외가집은 엄마의 위치에 따라 결정 됩니다 엄마 보다 윗쪽에 위치 하는 분들은 큰 외백부님이 되고 큰이모님이 됩니다 엄마보다 밑에 동생분들은 외숙부님이나 작은이모님이 됩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친가는 아버지의 위치에 따라 결정 되고 외가는 어머니의 위치에 따라 호칭이 결정 된다고
생각 하면 쉽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요즘은 아이들이 쉽게 기억하고부르기 편하도록 친가, 외가 구분없이 통일해서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족마다 다르지만 실용성과 정서적 편안함을 중시하는 추세입니다.
요즘에는 호칭을 부를 때 조금은 간소화해서 부르기도 합니다.
아이들의 혼란스러움을 막기 위함도 있습니다.
예전만큼 그렇게 가계도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문화라 그럴 수도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위처럼나누어서부르는경우가많으나
아이가 구분하기어려운경우통합해서 부르기도할겁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저희도 용어 앞에 "친", "외"는 잘 안 붙이는 거 같아요
대신에 거주하는 지역을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부산 할아버지, 인천 이모 이렇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