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결한게244
고결한게24422.04.10

하늘 색이 매일 같지 않고 왜 다르게 보이죠?

하늘 아래에 있는구름은 수증기가 적고 많음에 따라 하얀색 먹구름이 된다는 것은 이해가 갑니다. 그러나 하늘은 무슨 영향으로 짙은 푸른색 어떤 때는 청회색 등으로 변화해서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지구에는 대기라고 하는 특별한 층이 존재합니다.
    21%산소가 들어있는 아주 소중한 층인데요,
    이 대기 층을 태양에너지가 지나갈때, 공기가 푸른색 빛을 반사하고, 산란을 일으키게됩니다.
    이렇게 반사된 푸른색 빛깔이 우리 눈에들어오면 하늘색이 됩니다.

    이러한 것은 태양의 고도가 바뀜에 따라 산란 정도가 바뀌어 색이 계속 바뀌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빛의 굴절, 산란 때문 입니다.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와 질소가 태양빛과 부딪칠 때,여러 빛으로 분산됩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이 분산된 빛 중,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입니다.

    즉, 빛이 어떤 색에 의해 굴절 산란되냐에 따라 하늘의 색이 달라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이에요. 산란 과정에서 보라색과 파란색이 붉은색보다 무려 6배나 크게 산란이 일어난답니다. ​빛이 흩어지는 산란이 잘 일어나서 우리의 눈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애지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하늘은 공기로 이뤄져 있으므로, 투명한 색깔입니다.

    그런데 공기를 이루는 성분 중에는 수증기(물방울)이 있죠.

    그리고 우리가 색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데는 빛이 필요합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태양빛을 들 수 있습니다.

    모든 색을 다 더하면 검정이 되는 물감과 달리

    빛은 모든 색을 다 더하면 흰색이 되는데요.

    즉, 태양은 모든 색을 다 포함하고 있는 빛입니다.

    하지만 빛은 색에 따라서 파장 등의 성질에 차이가 있는데요.

    이러한 빛이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서로 다른 굴절률에 의해 여러가지 색으로

    분리가 되고, 각 시간대 별 태양과의 각도에 따라서

    우리 눈에 들어오는 색상이 바뀌게 되어

    하늘의 색깔이 매번 달라지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