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국내 원전관련주 전망은?
2025년 단기 전망이 아닌 2026년 이후까지 증장기 추세로 국내 원전관련 종목 중 시가총액 1조 미만의 중소형주 주식투자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원전 산업은 정책, 수출 이슈에 따라 변동성이 큽니다. 26년까지는 SMR 개발과 해외 수주 성과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중소형원전주는 변동성이 커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2026년 국내 원전 관련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쉽게도 현재 체코와의 계약의 내용이 사실이라면
우리 원전 관련주는 전망이 좋지 못합니다.
그래서 투자에 신중해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의 원전의 경우 해외와의 협력을 통해서 점차적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역의 확대는 실적으로 연결이 되고 이러한 것은 결국 주가의 상승을 이끌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때 투자를 할떄에는 한가지 원전주 보다는 다양한 원전주에 대한 투자를 하거나 또는 원전 etf에 대한 투자 또는 현 정부 또는 앞으로의 세계의 글로벌 흐름을 파악하시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국내에서의 원전산업의 핵심은 설계기술이 아닙니다 이미 이쪽은 웨스팅하우스나 다른 서구권으로의 패권을 뺴았겼고 이번소송에서도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다만 시공기술이나 관련 생태계는 한국이 우위입니다 글로벌 사업자는 프랑스 러시아 중국입니다. 그러나 프랑스의 시공능력은 이미 맡겨놓으면 원가는 원가대로 올라가고 10년이나 뒤쳐지는등 시공에서 완전히 비교우위가 사라졌으며 러시아나 중국은 함부로 다른 서구권국가에서 사업하기 힘든 구조입니다.
그렇다면 한국의 시공능력이 우수한건 사실이며 결국 글로벌 원전수주에서 한국의 시공업계는 무조건 들어가지만 이 사이클이 20년 이상의 장기사이클 수주산업으로 한번 수주시 20년가까이 시공이 필요하고 이러다보니 재무적으로 이익 반영이 안되다보니 현재 실적도 좋지 않게 나오는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구조상 1조미만의 중소형 부품이나 관련 생태계는 납품하는 업체에게 수혜는 시간이 소요되고 우선적으로는 전체 시공을 도맡아하는 현대건설이나 두산에너빌리티를 우선적으로 투자하고 이들이 실적이 어느정도 반영이되고 이들의 주문이 들어가는 시점부터 1조미만의 중소형 원전사로 매출이 반영되는 구조이고 이때부터 다시 주가가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흐름으로 반영될것으로 개인적으로 판단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미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한국원전주도 2026년 미국 원전건설 확대로 인해 수혜를 받을 것이라 전망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원전 산업은 정부가 주도하고 또 글로벌 수주 확대로 인해 장기적으로 상당히 좋은 흐름으로 판단됩니다.
SMR 산업을 키우겠다는 정부의 입장은 현재 대기업 뿐 아니라 관련 중소업체에도 호재로 작용하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신다면 좋은 흐름을 타실수 있다고 봅니다.
모쪼록 투자에서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원전 테마는 늘 한 번씩 시장에서 불이 붙곤 합니다. 2026년까지 길게 보면 정부 정책 방향이랑 해외 수주 여부가 가장 큰 변수라고 합니다. 지금 시총이 작은 회사들은 기술력이나 납품 경험이 있어도 수주 성과가 없다면 주가가 쉽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반대로 수주 소식 하나만 나와도 급등락이 생기는 게 중소형주의 특징으로 보입니다. 원자력 확대 정책은 중장기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종목별로는 리스크가 커서 분산투자나 장기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