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23.06.01

뜨거운 불에 기름을 넣고 요리할때 연기가 매우 몸에 나쁘다고 하는데 어떤 원리인가요?

기름을 태우면 발암물질이 생기고 몸에 매우 나쁘다고 하더라구요.

뜨거운 불에 이런 기름 연기가 나쁜 건 어떤 과학적 원리가 있나요? 기름의 성분이 공기과 결합해서 안좋은 화학물질로 바뀌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름은 여러개의 탄소와 수소로이루어진 탄화수소로 이루어져있는데, 너무높은온도로 올리면 기름의 변형이 발생하고 심하면 연소되어 탄소만남는 검댕으로 변합니다.

    이러한것들은 섭취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때문에 기름을 태우지않게하는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1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요리할 때 생기는 연기나 증기를 가리켜 조리흄 이라고 합니다.

    타는냄새뿐 아니라 조리흄은 조리하는 장소 환경에서 발생하는데 기름을 많이 접하는 중식이나 치킨, 튀김 요리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조리흄은 230도 이상 고온에서 기름을 동반한 가열 작업을 할 때, 지방 및 여러 성분들이 분해되면서 배출되는 물질입니다.

    국제 암 기구에서는 인간의 발암성 가능 물질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조리 중에 발생하는 연기는 너무 미세하고, 폐 깊숙이 흡입할 수 있는 지방 및 지방산 입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기름보단 고기등 지방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벤젠 계열의

    발암물질이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숯불등에 직화 보단 그리들등에서 굽거나 삶아드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기름 연기는 미립자와 입자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들 미립자와 입자는 공기 중에서 분산되거나 사람들이 흡입하여 폐에 침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초미세먼지(PM2.5)와 미세먼지(PM10)와 같은 작은 입자들은 호흡기로 통해 체내로 흡입되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름에 요리를 할때 식자재를 태울 정도로 요리를 하게되면 타면서 나오는 물질이 몸에 안좋습니다

    암에도 걸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증기는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립니다. 인체에 해를 끼치는 휘발유성기화합물로 벤젠, 톨루엔 등 1급 발암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눈에 안 보이지만 그 자체만으로 독성이 있어서 현기증, 마취작용, 암, 빈혈 등을 유발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