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유리는 고체인가 액체인지 정확히 상태를 어떻게 정의하는건가요?
유리는 그냥 고체로 알고 있었는데 명확하게 정의하게 힘들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유리는 고체인지 액체인지 그리고 왜 이런 논란을 갖고 잇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
유리는 고체 이지만 고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특성인 규칙적인 결정 배열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고체로 구분하기도 하고 고체가 아니라고 하기도 합니다. 유리는 불규칙적인 비결정 구조 물질 입니다.
하지만 고체는 딱딱한 물질을 통칭하여 부르는 말 이므로 고체로 보아야 할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유리는 전통적으로 고체로 분류되지만 분자 구조가 액체처럼 불규칙한 비정질 고체 이기 때문에 고체인지 액체인지에 대한 노란이 존재합니다 이는 유리가 냉각 과정에서 경정화 없이 점성이 높은 액체 상태에서 그대로 굳어 분자들이 긴 시간에 걸쳐 서서히 움직일 수 잇다는 특성 때문입낟 . 그러나 현대 과학에서는 유리를 고체로 보되, 결정 구조가 없는 특수한 상태인 ‘비정질 상태’로 정의하면서 고체와 액체 사이의 경계에 있는 독특한 물질로 인정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