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계연금 대상자의 유족연금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사례 1. 국민연금 + 국민연금
1) 본인 노령연금 + 유족연금의 30%
2) 유족연금
1), 2)중 유리한 거 선택
사례 2. 국민연금 + 직역연금
본인의 연금 + 유족연금
사례 3. 직역연금 + 직역연금
본인 직역연금 + 유족연금의 50%
위와 같아서 유족연금 측면에서만 보면
본인은 국민연금, 배우자는 직역연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잖아요.
그런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되나요?
사기업에도 다녔고 공무원 생활도 한 경우 연계연금을 받을 수 있잖아요.
질문 1. 연계연금 + 국민연금
질문 2. 연계연금 + 직역연금
즉, 연계연금 대상자는 어떻게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나요?
질문 1의 경우 연계연금을 받는 사람이 사망해서 노령연금을 받는 사람이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다면
연계연금 중 국민연금에 대한 부분은 사례 1과 같이 계산하고
연계연금 중 직역연금에 대한 부분은 사례 2와 같이 계산하나요?
또, 반대로 질문 1의 경우 노령연금 수령자가 먼저 사망해서 연계연금 수급자가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다면
그냥 사례 1과 같이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계연금의 경우, 보험사나 연금 기관에 가입한 경우 해당 계약 조건에 따라 유족연금이 결정됩니다. 보험사나 연금 기관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유족연금을 계산합니다.
질문이 다소 많지만 1번 정도만 고려해보면
1) 본인 노령연금 + 유족연금의 30%
장점 : 본인의 노령연금이 포함되어 있어, 노령 시에도 일정한 수입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유족연금의 일부분을 받을 수 있어서, 유족의 생활을 일정 부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단점 : 본인의 노령연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유족에 대한 지원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유족연금의 비중이 30%로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유족에게 제공되는 지원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