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를 쓰고 있는데도 대화만으로 감염에 걸릴 수 있나요?
코로나 19를 마스크를 쓰고 있는데도 대화만으로 감염될 수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마스크의 기준은 비말 차단 마스크입니다 요즘 코로나 확진자가 많아지는 것 같아서 질문 남겨요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 가능은 합니다. - 백신을 비롯하여 마스크도 그렇고 예방의 효과는 항상 확률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예방확률이 100%라고 할수는 없으므로 감염 확률도 어느정도는 존재한다고 보는것이 맞습니다. 물론 감염확률 자체가 많이 낮아지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 - 마스크를 얼마나 잘 썼는지에 달렸다고 생각됩니다. 마스크를 코와 볼 쪽에 정확히 밀착하여 사용했을 경우 90%이상에서 예방효과가 있기 때문에 감염이 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 마스크를 쓰고 있어도 감염의 가능성은 있으나 그리 높지는 않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비말로 전파하는 것으로 현재 알려진 상태인데마스크는 대부분 비말이 직접적으로 튀는 것을 예방합니다. 하지만 눈이나 코 등 점막부위로 비말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으므로 전파는 될 수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의료기관에서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 코로나 19 마스크를 쓰고 있다면 대화를 하더라도 감염의 가능성이 높지는 않습니다. 너무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 가능성은 있습니다. - 마스크의 틈새로 비말이 빠져나올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기 때문에 - 마스크나 거리두기 등은 감염의 확률을 낮춰주는 쪽으로 쓰는 것이라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 마스크를 착용해도 100% 예방이 되는 것은 아니랍니다. 물론 감염 가능성은 매우 낮아지지요. 요즘 확진자가 증가하는 것은 돌파 감염(백신의 효과가 떨어진 상태에서 위드 코로나로 마스크 잘 안 쓰고 돌아다녀서 생기는 것이지요.) 과 미접종자 감염으로 인해 생겼다 볼 수 있습니다. 결국 마스크는 잘 쓰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 질문자님께서는 마스크를 쓰고 있었는데 대화만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는지 궁금하시군요. - 마스크를 쓰고 있는 것이 마스크 미착용에 비해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효과가 높지만, 100% 감염을 막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감염자와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했다면 반드시 선별진료소에 방문해서 pcr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 KF94나 80은 미세먼지 및 비말을 차단하는 효과가 뛰어나기에 양쪽 모두 마스크를 착용후에 대화만 한 경우이는 감염 확률이 낮으나 면마스키나 일회용 마스크는 차단율이 다소 떨어지기에 위험요인이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했다면 전파율이 많이 낮아집니다. 대화를 한다고 해서 반드시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 코로나(COIVD)19 바이러스는 공기 중 비말로 전파가 되고 사물에 묻어있던 비말이 손과 눈 코 입을 통해서 들어가면 전염이 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마스크와 손씻기가 매우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 최소 비말차단 마스크를 사용하고, 확진자와 대화했다면 무조건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 감염될 가능성이 약간 있는 것이지 무조건 감염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음식을 같이 먹거나/ 마스크를 내렸거나 신체적접촉이 있던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 가능성은 낮습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의 주된 전파 경로는 비말이 맞긴 하지만 이외에 공기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스크를 잘 착용하고 대화를 하더라도 이론적으로는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 마스크를 쓰고 있는 상태에서 대화만으로 감염되기는 사실상 어렵습니다. 다만 대화가 아닌 접촉자와 같은 공간에 있다면 다른 물건을 만지거나 다른 경로를 통해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 KF94가 코로나 바이러스 차단의 측면에서는 효과가 가장 좋은 마스크입니다. - 마스크 착용 방법을 준수하여 제대로 갖춰어 쓰면 코로나 감염 예방 효과는 확실합니다. - 하지만 일반 비말 마스크나 단순한 덴탈, 면마스크를 써도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 차단 효과는 있습니다. - 마스크를 쓰는것 자체가 큰 예방행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 네 가능은합니다. - 사람간에 전파되며 대부분은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말하기, 노래 등에 발생한 침방울(비말)에 접촉할 경우 발생합니다.(주로 2m 이내) - 표면접촉, 공기접촉도 가능은 하나 공기전파의 경우 밀폐된 공간과 같은 특정환경에서 제한적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 확진자와 접촉하지 않은채 마스크를 잘 쓰고 대화만 했다면 감염위험은 적습니다. 접촉했을지라도 손소독을 잘 했다면 괜찮습니다. 마스크를 벗어서 코나 입이 노출된적이 있다면 감염위험은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 마스크를 착용시에 틈새가 있으시거나 제대로 착용을 못하셨다면 - 대화만으로도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감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다만 제대로 마스크 잘착용하신 것이라면 감염의 가능성은 낮습니다. -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 가능합니다. - 마스크를 쓰고도, KF94를 끼도 확진자와 15분 이상 대화할 경우에 - 해당 대화한 사람도 PCR 검사를 받도록 권유되고 있습니다 -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현 의사입니다. - 마스크를 94를 쓴다고 해도, 백프로 비말을 다 차단할 수 있는것은 아니기 때문에, 둘다 마스크를 쓰고잇어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 물론, 대화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밀폐된 공간일수록 가능성은 더 증가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 마스크를 전혀 벗지 않았다면 감염확률은 적겠지만 밀접접촉자로 분류된다면 pcr검사를 받아보셔야합니다. 코로나19 감염시 연령, 성별 그리고 개인차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37.5℃ 이상), 기침, 호흡곤란, 오한, 근육통, 두통, 인후통, 후각·미각소실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중 의사입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람으로 전파되며 주로 환자와 직접 접촉 또는 호흡기를 통해 배출되는 비말에 의해 전염됩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이 말을 하거나, 기침이나 재채기, 노래 등을 할 때 생성된 비말이 근처에 있는 사람들의 호흡기에 직접 닿거나, 비말이 묻은 손 또는 물건 등을 만진 뒤 눈, 코 또는 입을 만질 때 전염될 수 있습니다.) - 또한, 공기 감염은 흔하지 않으나 의료기관의 에어로졸 생성 시술이나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호흡기 비말을 만드는 환경 등 특수상황에서 보통 비말이 도달하는 거리(2미터) 이상까지 바이러스 전파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 *대화중인 두명이 모두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면, 전파가능성이 상당히 떨어지므로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출처: http://ncov.mohw.go.kr/shBoardView.do?brdId=3&brdGubun=38&ncvContSeq=3477 
- 비말감염의 경우 타인의 몸에서 발생하는 분비물,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때 튀어나오는 물방울 같은 입자에 균이나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 전파되는 감염을 이야기합니다. - 공기감염은 이보다 훨씬 작은 크기로 분비물 없이도 공기중에 떠다니면서 감염을 시킬 수 있으며 - 감염 반경 범위도 50m 정도로 굉장히 넓습니다. - 일반적으로 코로나는 접촉을 통해 감염이 되거나 비말 감염등을 통해 전파되는 직접 감염 경로 형태를 많이 보이나 - 공기감염과 같은 간접 감염 경로도 보고되고 있어 2가지 감염 경로로 다 감염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 다만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니 무조건 착용하시는게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