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보랏빛천인조110
보랏빛천인조11023.01.16

단오는 우리나라 3대 명절중 하나인데 왜 유명무실해 졋을까요?

단오절은 3대명절로 꼽히는 큰 명절인데 지금은 왜 유명무실 해 진건지? 단오에 행해지는 풍속은 알고 있는데 단오의 유래와 단오절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단오절은 한국의 명절 중 하나로 한국 4대 명절인 설날, 추석, 한식(명절) 에 이은 명절입니다. 매년 음력 5월 5일이며, 양력으로는 대체로 6월에 든다. 우리말로는 수릿날이라고 일컬었고, 다른 말로는 천중(가)절(天中(佳)節), 오월절(五月節), 그네를 타는 명절이라는 뜻에서 추천절(鞦韆節)이라고도 부르지만 일반에서는 흔히 단오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에서도 같은 날에 단오를 보냅니다.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이기도 한 단오는 우리나라에서 큰 명절로 여겨져 여러 가지 행사가 행해지고 있습니다. 단오의 '단'자는 처음 곧 첫번째를 뜻하고 '오'자는 五, 곧 다섯의 뜻으로 통하므로 단오는 초닷새라는 뜻이 됩니다. 단오의 풍속 및 행사로는 창포에 머리감기, 쑥과 익모초 뜯기, 대추나무 시집 보내기, 단오장이라 하여 창포 뿌리를 잘라 비녀 삼아 머리에 꽂는 등의 풍속과 함께 그네뛰기, 활쏘기, 씨름 같은 민속놀이 등이 행해졌다. 단오는 수릿날, 중오절, 천중절, 단양이라고도 합니다.

    단오의 기원은 재액(災厄)을 예방하고 풍요와 안정을 기원한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비가 잦은 계절인 5월이 병마(病魔)가 기승하는 시기임을 이용하여 악귀와 병마를 쫓는 풍습을 통해서 생겨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독교가 들어와서 그럴 수도 있구여

    근대화 되기 전에는 우리나라가 농경사회여서 단오같은 명절은 즐기고

    쉬는 날로 삼았지만 서양처럼 요일개념을 사용하고 부터는 6일 일하고

    일요일은 쉬는데 굳이 단오를 휴일로 정하지 않은게 아닐런지여

    시골에서는 지금도 단오날은 소중한 명절로 지켜지져

    우리도 봉숭아물들이기는 하거든여

    요즘은 씨름대회 같은 건 tv에서나 하지만 예전에는 소를 상금으로 주는

    씨름대회나 그네타기가 단오날의 정경이었다고 하네여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3대 명절 중 하나인 단오절은 중국 초나라 회왕(懷王) 때부터라고 합니다. 굴원(屈原)이라는 신하가 간신 들의 모함에 자신의 지조를 보이기 위하여 멱라수(汨羅水)에 투신 자살 하였는데 그날이 5월 5일이었다고 합니다 그 뒤 해마다 굴원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제사를 지내게 되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에 전해져서 단오가 되었다고 합니다. 일본에도 이와 같은 단오절이 지금도 존재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도 우리처럼 휴일은 아닙니다. 단오가 구정이나 추석에 밀려서 이렇게 약간 시들어 버린 이유는 아마도 바뿐 현대인들의 삶에 1년에 설날과 추석이라는 민족의 2번 큰 명절이 있는데 굳이 또 다른 명절을 기념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을 것 같아서 점점 사라져 가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오는 재액을 예방하고 풍요와 안정을 기원한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비가 잦은 계절인 5월이 병마가 기승하는 시기임을 이용하여 악귀와 병마를 쫓는 풍습을 통해서 생겨난 것으로 그 유래가 추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중국 초나라 회왕때

    충신 굴원이란 사람에서 시작된

    단오는 1년중 양기가 가장 강한

    날로 설날,한식,추석과 더불어

    4대 명절로 분류되나 공휴일도

    아닌점도 있어 명절로서는

    많이 퇴색된 상태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래 단오는 4대 명절중에 하나 있을 만큼 큰 명절이였습니다.

    단오를 하는 이유는 봄에 파종을 마치고 풍년을 기원 하는데에서 비롯 되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농업 기술 발달로 인해서

    서서히 단오의 뜻을 점점 잃어가고 있어서 다른 명절에 비해서 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