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새우중에서도 민물에서 자라는 작은 새우인 토하가 있는데, 토하는 어떤종류의 새우인가요?

새우의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고 바다에서 자라는 여러종류의 새우도 있고 민물에 사는 새우의 종류와 크기도 다른데, 토하의 경우 어떤 종류의 새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토하는 주로 새뱅이과에 속하는 민물새우를 지칭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어떤 특정 종의 새우를 지칭하는 것은 아닙니다.

    즉, 토하는 그 이름 그대로 '흙에 사는 새우'라는 뜻으로, 맑은 1급수에서 서식하는 아주 작은 민물새우를 통칭하는 말입니다. 손톱 크기에 연한 회색빛을 띠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 중에서도 '새뱅이'라는 새우는 토하라고 불리는 대표적인 민물새우 종류입니다. 전라도에서는 '생이' 또는 '새비'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연못이나 저수지, 냇물 등 다양한 수역에 서식하며, 몸길이는 25mm 내외로 작은 새우류에 속합니다.

    그리고 때로는 줄새우나 징거미새우 등 다른 작은 민물새우를 싸잡아 토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참고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토하젓'의 경우, 실제 토하가 아닌 저렴한 줄새우나 징거미새우를 섞어 만드는 경우도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진정한 토하는 맑은 물에서만 살 수 있어 양식이 어렵고 귀한 품종입니다.

  • 토하는 주로 '새뱅이' 또는 '생이'라고 불리는 민물새우의 일종으로, 학명은 Paratya compressa입니다. 이는 1급수 청정 지역에서 서식하는 작고 귀한 민물새우를 통칭하는 말이기도 하며, 전라도에서는 생이 또는 새비, 충청도에서는 새뱅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

    토하(土蝦)는 십각목 새뱅이과의 무척추 동물로, 연못이나 저수지에 서식하는 민물 새우입니다.

    몸길이는 25mm 내외로 작은 크기이며 갑각에 눈윗가시와 더듬이윗가시가 있습니다. 가슴다리에 바깥다리가 없으며 눈 윗가시가 있는것이 특징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토하는 깨끗한 강이나 계곡 등 민물에서 서식하는 작은 새우로, 주로 왜새우속이나 동양민물새우속에 속하는 민물새우의 일종입니다. 크기가 작고 투명하거나 연한 갈색을 띠며, 토하젓 등으로 전통적인 식용 활용이 많습니다. 바다에서 자라는 대하나 흰다리새우와 달리 청정한 민물에서만 살 수 있어 환경 변화에 민감한 특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